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요즘 교도소 밥 맛있다"…SNS에 재력·문신 과시하는 'MZ조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교도소 밥 맛있습니다."

7일 한 인터넷 개인방송에서 전신에 문신을 한 젊은 남성이 웃통을 벗은 채 한 말이다. 감옥을 다녀왔다는 남자는 방송을 진행하면서 교도소 생활을 궁금해하는 시청자들의 질문에 답했다. 그는 "요즘 감옥에서 주는 밥 괜찮다. 교도소 안도 사람 사는 곳이라 다 똑같다"며 "돈 많은 사람은 아프면 약도 잘 사 먹고, 영치금으로 맛있는 것도 자주 사 먹는다"고 말했다. 이날 다른 인터넷 개인방송에는 건달 생활을 했다는 남자 4명이 모여 조직 생활을 과시했다.

"요즘 교도소 밥 맛있다"…SNS에 재력·문신 과시하는 'MZ조폭'
AD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전신 문신 사진을 올리는 등 거친 행동을 과시하는 20~30대 불량배들이 소규모 범죄조직을 꾸리고 조직폭력배처럼 활동하고 있다. 흉기 폭력을 위협하며 금품을 갈취하고 이권 다툼을 하는 전통적 조폭과는 다른 행태지만, 이런 무리가 불법 도박사이트 운영 등 온라인을 주무대로 범죄를 일삼고 세를 불리자 검찰과 경찰도 이들을 ‘MZ조폭’이라고 부르며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 마약류 약물에 취한 채 롤스로이스 차량을 몰고 보행자를 치어 뇌사 상태에 빠트린 사건으로 알려진 일명 ‘롤스로이스남’ 신모(27)도 전신 문신을 하고 동갑내기 8명으로 구성된 ‘MT5’라는 범죄 사조직에서 활동했다고 알려졌다. 신씨를 포함한 MT5 조직원들이 웃통을 벗고 문신을 과시하며 찍은 사진이 온라인에서 퍼지고 있다. 신씨 집을 압수수색한 검찰은 1억원이 넘는 돈다발을 발견했다. 검찰은 신씨와 MT5가 불법 주식 리딩방과 도박 사이트를 운영한 것으로 본다.


"요즘 교도소 밥 맛있다"…SNS에 재력·문신 과시하는 'MZ조폭'

경찰 수사 등을 종합하면 MZ조폭의 수익원은 가상화폐 및 주식 리딩방, 온라인 도박, 보이스피싱 등 온라인 중심이다. 실제 최근 부산에서 검거된 불법 도박사이트 운영 조직은 20대 총책 A씨를 중심으로 SNS만을 이용해 사이트를 관리했다. 이들은 이렇게 거둔 4000억원의 불법 수익으로 가상화폐로 자금을 세탁하고 부를 과시하는 용도에 썼다. 경찰 관계자는 "조직원들끼리 사이트 관리를 위해 연락을 주고받을 때도 철저하게 SNS만을 이용했고, 불법 수익으로 람보르기니와 해운대 엘시티를 구입하는 등 호화 생활을 했다"고 말했다.


MZ조폭은 SNS를 통해 이합집산하며 범죄를 저지르는 ‘점조직’ 형태를 보여 수사기관도 규모나 범죄 활동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존 전통 폭력조직은 경찰이 조직원 명단을 만들어 관리하고 있는데, MZ조폭들은 기존 폭력조직에 가입하지 않는 이상 경찰 관리명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롤스로이스남 신씨도 경찰의 조직폭력배 명단에는 없었다. 수도권 경찰서 형사과장은 "롤스로이스남과 같은 MZ조폭은 우두머리를 중심으로 모여서 상명하복하며 다른 조직과 경쟁하는 기존 조폭과 다르다"며 "3~4명씩의 조직원을 이끄는 ‘총판’들이 특정한 범행 목적으로 모이는 방식의 형태"라고 설명했다.

"요즘 교도소 밥 맛있다"…SNS에 재력·문신 과시하는 'MZ조폭'

이들은 자신의 행적을 숨기기는커녕 온라인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린다. SNS에 재력을 과시하는 사진이나 영상을 올린 뒤 "DM(다이렉트 메시지)을 달라"고 글을 쓴다. 여기에 현혹돼 자발적으로 연락해 온 청소년을 포섭해 세를 불리는 방식이다. 문신·도박 등으로 청소년을 꾀기도 한다. 승재현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분별력이 떨어지는 청소년들은 유튜브, SNS 등에서 무용담을 과시하는 MZ조폭을 연예인이나 인기 유튜버처럼 여기고 거부감 없이 이들의 꾐에 빠져 범죄에 발을 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MZ조폭의 세력이 더 커지기 전에 신속하고 전국적인 단속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승 연구위원은 "MZ조폭이 되는 루트를 정확히 파악해 세가 불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MZ조폭의 SNS 활동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며 "SNS를 통해 연대하는 행위와 이들이 주도하는 불법행위를 적극 단속하겠다"고 말했다.




공병선 기자 mydill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