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보고서
美·유로존 일자리 4분의1 자동화
10년간 전세계 GDP 연 7% 성장
머스크 "AI, 문명에 큰 위험"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발달로 미국, 유럽과 같은 주요 경제권역에서 3억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의 전망이 나왔다. AI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지속될 경우 향후 10년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은 연 평균 7% 성장할 것이란 낙관적인 예측도 제기됐다. 이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유명인사들이 첨단 AI가 인류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6개월간 AI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해 이목이 쏠린다.
'화이트칼라' 업종 위험…사무·행정·법률 타격 커
27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최근 생성형 AI 발달로 미국과 유로존 일자리의 4분의 1이 자동화할 것으로 봤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사무·행정 지원 근로자 중 46%가 자동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뒤를 이어 법률(44%), 건축·공학(37%), 생명·사회과학(36%), 경영·금융(35%), 사회 서비스(33%), 관리(32%), 판매(31%)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권 대부분은 '화이트칼라' 업종이 차지해, 사무직 근로자들이 1980년대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제조업 근로자의 전철을 밟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건설·채굴(6%), 설치·보수(4%), 빌딩 청소(1%) 등 야외 근로나 신체 노동이 많은 블루칼라 업종은 AI 대체로 인한 자동화 비율이 한 자릿수에 그칠 것으로 추산됐다.
직업별로 살펴보면 미국, 유로존의 수천개 직업 중 3분의 2가 AI로 인한 자동화 위험에 노출될 것으로 봤다. AI가 대체할 수 있는 작업량은 적게는 25%, 많게는 절반이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경우 전체 노동력의 7%는 작업의 절반 이상을 생성형 AI가 교체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다만 AI의 생산량이 인간의 절반 수준에 그쳐 근로자들이 자동화로 절감된 시간을 다른 생산활동에 쓰며 일자리를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이번 골드만삭스의 전망치는 보수적인 수준이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는 지난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미국 노동력의 80%가 AI로 대체될 수 있다고 밝혔다. AI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량은 인간의 최소 10%를 넘어설 것이라고 봤다.
"전세계 GDP 연 7% 성장" vs "AI, 문명에 큰 위험…개발 멈춰야"
보고서는 이 같은 생성형 AI 발전으로 벌어지는 일자리 개편과 함께, 향후 10년간 글로벌 GDP가 연 평균 7%(연간 약 7조 달러) 성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AI에 대한 투자가 1990년대 소프트웨어(SW) 투자와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면 오는 2030년엔 미국 GDP의 1%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의회예산처에 따르면 미국의 실질 잠재성장률 전망치는 2022~2032년 1.8%, 2033~2042년 1.6% 수준이다. 골드만삭스의 예측이 맞다면 생성형 AI의 발달로 최대 3%에 가까운 수준까지 미국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실제로 AI 투자는 빠르게 늘고 있다. 미국과 전 세계의 AI 투자는 2021년 기준으로 각각 530억 달러, 940억 달러로 5년 전보다 5배 가량 증가했다.
골드만삭스는 "이 기술이 (성장률 증대) 기대에 부응할 경우 노동 시장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며 "거대 경제권의 종일제 근로자 3억명을 자동화 위험에 노출시키고 특히 변호사, 행정·사무직은 정리해고를 당할 위험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AI가 발전할수록 기술 개발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머스크를 비롯해 애플 공동창업자인 스티브 워즈니악, 세계적 베스트셀러인 '사피엔스' 작가 유발 하라리 등은 "최첨단 AI 시스템 개발을 일시 중단하자"며 미국 비영리단체인 '삶의 미래 연구소(FLI)'가 추진한 공개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오픈 AI를 공동으로 설립했던 머스크는 이전에도 "문명의 미래에 큰 위험 중 하나는 AI"라고 경고하며 AI에 대한 규제를 촉구했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