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단독]‘ESS 의무화’ 5년 지났는데…公기관 도입률 20% 불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ESS 갖춘 公기관 70곳…설치 이행률 19.8% 그쳐
'에너지 효율화' 핵심 인프라…2017년 설치 의무화
"주무부처 의지에 의문…설치 계획 철저히 관리해야"

[단독]‘ESS 의무화’ 5년 지났는데…公기관 도입률 20% 불과 현대자동차그룹이 개발 중인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진은 기사 특정 표현과 무관함. [사진 = 아시아경제DB]
AD

단독[아시아경제 세종=이준형 기자] 정부가 공공기관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를 의무화한지 5년이 지났지만 도입률은 2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ESS는 정부가 추진 중인 ‘에너지 수요 효율화’ 정책의 핵심 인프라인 만큼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가 보급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한국에너지공단이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ESS를 설치한 공공기관은 70곳으로 집계됐다. ESS를 의무적으로 갖춰야 하는 공공기관이 353곳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도입률은 19.8%에 불과하다. ESS 설치 기관수는 2018년 14곳, 2019년 9곳, 2020년 19곳, 지난해 12곳 등 매년 20곳을 밑돌았다.


ESS는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한 때 꺼내 쓸 수 있는 장비다. 전력소비량이 적을 때 전기를 충전한 후 전력 수요가 몰리는 시기에 방출하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전력 피크타임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에 정부는 2017년 일부 공공기관의 ESS 도입을 의무화했다. 2017년 11월 시행된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계약전력이 1000kW 이상인 공공기관 건축물은 계약전력의 5% 이상을 저장할 수 있는 ESS를 설치해야 한다.


당초 정부는 사업 종료 시점을 2020년으로 잡았지만 당시에도 공공기관 ESS 도입률은 20%로 저조했다. 정부가 소방청 고시 등을 이유로 관련 규정을 개정해 사업 종료 시점을 3년 연장했던 이유다. 하지만 올해 역시 공공기관의 ESS 도입률은 20%에 그쳤다. 정부가 사업 종료 시점을 연장한지 2년이 지났지만 도입률은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


정부의 ESS 도입 의지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다. 실제 지난 정부는 ESS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2017년 전력기금 13억원이 투입됐던 ‘전력피크 대응을 위한 ESS 실증 연구’ 사업에 이듬해부터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을 정도다.



양 의원은 "고시 개정으로 한 차례 설치 기한을 연장했음에도 도입률은 20%에 불과했다"면서 "산업부가 제대로 고시를 이행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산업부는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해 책임감 있는 자세로 공공기관의 ESS 설치 이행계획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종=이준형 기자 gil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