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판 모·순…양자컴퓨터vs양자내성암호 승자는?[과학을읽다]

시계아이콘03분 5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어떤 암호든 순식간에 푸는' 양자컴퓨터 발전
사이버 보안 위해 양자내성암호 연구도 활발

현대판 모·순…양자컴퓨터vs양자내성암호 승자는?[과학을읽다]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모·矛)과 방패(순·盾)가 각각 천하무적이라고 자랑하자 한 사람이 "그럼 그 창과 방패를 한 번 부딪혀 보라"고 말했다. 어떤 방패도 뚫는 창, 모든 창을 막아내는 방패는 있을 수가 없다. 당황한 무기 상인은 도망가고 말았다.


현대판 모순 대결이 벌어지고 있다. 양자컴퓨터와 양자내성암호(QPC)가 그 주인공이다. 어떤 암호도 풀어 낼 수 있다는 ‘창’, 양자컴퓨터가 날로 발전을 거듭하면서 상용화의 길에 다가서고 있다. 반면 양자컴퓨터의 미래가 불명확한 상황에서 ‘방패’인 양자내성암호의 효용성을 주장하는 측도 만만치 않다.


◇‘무적 창’ 양자컴퓨터의 등장

"현존하는 가장 어려운 암호도 단 몇 초 만에 풀어 버릴 수 있다." 만약 이런 일이 현실화되면 어떻게 될까? 블록체인 등 기존 컴퓨터 보안 체계가 모두 무용지물이 된다. 개인 정보 유출은 물론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거래는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모든 서버의 보안도 뚫릴 수 있다. 금융거래ㆍ국가 보안망 등 일체의 컴퓨터 네트워크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양자컴퓨터의 등장과 급속한 기술발달로 이 문제가 점점 ‘현실화’ 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1980년대 개념이 등장한 양자컴퓨터는 0과 1로 나뉘는 기존 디지털 비트와 달리 0과 1이 중첩된 상태라는 큐비트(Qubit) 개념(양자 병렬성)을 이용한다. 현재의 컴퓨터가 비록 빠른 속도의 연산을 할 수 있지만 한 번에 하나의 연산 밖에 할 수 없어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의 계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반면 양자컴퓨터는 큐비트의 갯수가 많아 질 수록 복잡한 연산을 정확히 빠르고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인간의 두뇌가 복잡한 주변 상황을 한꺼번에 인식해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과 비슷하다. 예컨대 16큐비트 양자컴퓨터는 일반 컴퓨터가 6만5537회 해야 하는 연산을 단 한 번에 마칠 수 있다. 특히 1993년 피터 쇼어가 이른바 소인수분해 및 이산대수의 문제를 실시간으로 풀어주는 양자 컴퓨터 알고리즘(Shor‘s algorithm)을 개발하면서 ’무적의 창‘의 날이 벼려지기 시작했다. 공개키 암호 방식, 즉 소인수 분해, 이산대수라는 어려운 수학 난제를 이용한 암호 체계가 순식간에 해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인터넷 쇼핑ㆍ뱅킹 등 개인의 전자상거래나 안보ㆍ금융ㆍ국방 등 모든 분야의 암호 체계가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해 사이버 세계의 ’암호 대란‘을 예고한 사건이었다. 만약 어느 한 국가, 단체가 비밀리에 이런 양자컴퓨터를 개발한다면? 위성·핵무기 암호 체계를 해킹하거나 스위스은행의 비밀 번호를 알아내는 것도 손쉬운 일이 된다.

현대판 모·순…양자컴퓨터vs양자내성암호 승자는?[과학을읽다]


이같은 양자컴퓨터 기술은 날로 발전하고 있다. 극저온ㆍ무중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장비가 필요한게 약점이지만, 상온ㆍ상압 상태에서 작동 가능한 방식도 연구되고 있다. 미국의 맥킨지앤드컴퍼니는 지난해 2월 2030년까지 양자컴퓨터가 전세계적으로 2000~5000대 가량 보급될 것으로 예측했다.


◇ 수년 내 암호화폐 보안도 깬다?

실제 세계 양자컴퓨터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IBM사는 이같은 ’무적 창‘ 개발 가능성을 공공연하게 과시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한국과학기술연차대회에 참석한 원성식 한국IMB대표는 ’양자과학기술의 미래와 도전‘ 포럼에 참석해 내년 양자우월성(quantum supremacy) 달성, 수년내 암호화폐 보안 무력화 등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양자우월성 달성이란 기존 방식의 슈퍼컴퓨터보다 뛰어난 양자컴퓨터 개발을 의미한다.


이 대표는 "양자우월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000큐비트를 넘겨야 하는 데, 그 시점을 내년으로 잡고 있다"면서 "올해 말까지 433큐비트를 상용화할 계획이며, 내년에 1121큐비트, 2025년에 4000 큐비트를 각각 달성할 예정이다. 수년 내 10만 큐비트를 초과한다는 게 자체 로드맵"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양자컴퓨팅의 능력이 10만큐비트를 넘어가게 되면 블록체인 기술, 즉 거래 내역을 여러 사람의 컴퓨터에 기록해 대조하는 방식의 현재의 암호화폐 보안 체계를 허물어 버릴 수 있는 연산 속도가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대판 모·순…양자컴퓨터vs양자내성암호 승자는?[과학을읽다]


◇뚫을 수 없는 방패도 있다

그렇다면 양자컴퓨터의 등장으로 사이버 보안은 완전히 무력화될까? ’방패‘가 준비되고 있다. 양자의 성질을 이용한 양자암호통신과 양자 내성 암호 기술이다. 양자암호통신은 빛의 가장 작은 단위인 광자에 정보를 담아 암호화해 전송하는 차세대 보안 통신 기술이다. 양자는 불확정성, 중첩성, 복제 불가 등의 성질을 갖고 있다. 송신자와 수신자만 해독할 수 있고, 해킹 시도에 노출되면 신호 자체가 왜곡ㆍ변질돼 원본 해석이 불가능하다. 이같은 성질을 이용한 양자암호 키 방식의 암호 체계를 세계 각국의 정부기관, 기업 등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SKT나 KT 등 이동통신사에서 상용화 단계에 돌입해 있다.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한층 진일보된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개발해 민간 기업에 이전하기도 했다. 기존 양자암호기술 상용화를 위한 과제, 즉 현재 100km 내에서만 가능하고, 1대1 통신만 되는 문제를 일부 해소했다. 한상욱 KIST 양자정보연구단장은 "단일 광원을 사용하는 플러그앤플레이(PnP) 구조를 적용해 TF QKD 시스템 작동에 필요한 난이도를 낮췄고, 1:1이 아닌 다대다 네트워크로 확장이 동시에 가능한 시스템 구조를 개발했다"면서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 성공으로 장거리 양자암호 네트워크 분야를 리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양자암호통신은 그러나 별도의 장치와 안정적인 채널이 필요해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 다른 방식인 양자내성암호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컴퓨터의 초고속 연산 속도라도 푸는 데 시간이 수억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어려운 수학적 난제들을 이용해 암호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2020년 4월 다변수 이차식 기반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양자컴퓨터의 쇼어 알고리즘이 소인수분해ㆍ이산대수 방식의 공개키 암호를 풀었다면, 이 알고리즘은 다변수 이차식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식이어서 쇼어 알고리즘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LG U+가 지난해 발표한 양자내성암호는 에러가 있는 선형일차방식의 해를 구하는 ’선형잡음문제‘를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격자기반 암호 방식이었다. 이 기술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암호키의 생성과 교환, 저장, 폐기 등 키 관리 기능이 전송장비에 내장돼 별도의 키 관리 시스템과 키교환 전용 회선이 불필요해 확장성이 뛰어나다. 2019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국내 표준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같은 기술들은 풀기 어려운 수학적 난제일 수록 필요한 큐비트 자원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점 때문에 실제로는 양자컴퓨터도 풀 수가 없다는 점을 이용했다.


◇ ’초울트라슈퍼 창‘의 등장

그러자 다시 ’창‘의 반격이 시작됐다. 그것도 우리나라 연구진에 의해서다. 양자내성암호가 아무리 어려운 수학적 난제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양자컴퓨팅을 통해 공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5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서울대, 한양대 등 국내외 연구진과 함께 ’분할-정복‘ 전략으로 양자내성 암호를 풀 수 있는 양자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분할-정복 전략이란 전체 구조를 하부 구조들로 작게 나누고 개별 공략하는 방법이다. 쉽게 말해 엄청난 크기의 수학 문제를 작게 나눠 개별적으로 풀면 소규모의 양자컴퓨터로도 그동안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던 양자내성암호 공략이 가능하다는 점을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비해 필요한 자원의 증가량 양상이 지수함수에서 다항 함수로 줄어드는 ’지수함수적 양자이득을 달성했다"면서 "보통 자원량 증가가 지수함수적이면 어려운 문제로, 다항 함수적이면 쉬운 문제로 분류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직 모와 순의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우선 양자컴퓨터의 발전 양상이나 속도는 물론 어떤 결과물이 나올 것인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양자컴퓨터와 양자내성암호와의 대결에서 승패를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실제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된다고 하더라도 기존 컴퓨터를 대체하는 대신 까다로운 문제, 즉 인수분해, 복잡한 미적분, 행렬의 변환, 머신러닝, 복잡한 최적화 문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등을 대신할 수 있는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컨대 물류를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미국의 정유회사인 엑슨모빌의 경우 현재 전 세계 500여 대 LNG 선박의 이동 경로와 지정학적 위험, 기후변화 등을 고려해 물류를 최적화하는 경우의 수가 2의 100만 승이다. 기존 컴퓨터로는 풀 수 없고 양자컴퓨터라면 최적의 물류 경로를 계산해 낼 수 있다.


AD

국내 한 양자컴퓨터 전문가는 "양자과학기술은 현실화되고 있으며, 아직은 범용에 도달하기까지 기술적 난관이 있지만 2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앞으로 양자컴퓨터가 가져올 파급력을 생각하면 이런 미래 기술에 대해 먼저 준비를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4.0207:30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았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풍력

  • 25.04.0207:30
    (하)대만전력공사
    (하)대만전력공사 "해상풍력은 하늘이 준 기회"

    "대만 중앙 산맥과 중국 본토 사이에 있는 대만해협은 지리적으로 바람이 강한 지역입니다. 하늘이 준 기회를 버릴 수는 없죠." 지난달 20일 대만 타이베이 대만전력공사에서 만난 차이즈멍 부사장은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해상풍력의 강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중앙산맥은 대만섬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산맥으로, 대만산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만에서 해상풍력 사업은 주로 서해안 지역에 이루어지고 있는데 중앙산맥

  • 25.04.0207:30
    (하)오스테드
    (하)오스테드 "韓 기업과 글로벌 해상풍력 협력하고파"

    "오스테드는 전 세계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페어 마이너 크리스텐센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지난달 21일 대만 타이베이 신이구에 있는 오스테드 아태지역 본부에서 기자와 만나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덴마크 국영 기업인 오스테드와 대만 해상풍력과의 인연은 깊고도 넓다. 오스테드는 대만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포모사1 개발에 참여한 데 이어 2024년에는

  • 25.04.0107:30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전력부족사태 온다"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아 있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 25.04.0107:30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핵융합·SMR 관심있게 보고 있다"

    "대만도 핵 관련 기술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안전성이 확보되고 핵폐기물 이슈가 해결된다면 ‘새로운 핵기술’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즈웨이 대만 경제부 능원서(能源署·에너지청) 부서장은 지난달 21일 타이베이 경제부 회의실에서 진행된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정부는 탈원전 이후에도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만은 5월17일 현재 가동 중인

  • 25.04.0108:35
    ⑥권용진 교수
    ⑥권용진 교수 "직업윤리 바로 세워야"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4
    ⑤김누리 교수
    ⑤김누리 교수 "공적 책임의식 회복 시급"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3
    ④
    ④"보상심리 있지만 의료계-환자 상생하자는 것"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2
    ③서열·통제·복종 문화 속 집단사고
    ③서열·통제·복종 문화 속 집단사고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1
    ②'의대 블랙홀' 속 더 공고해진 특권의식
    ②'의대 블랙홀' 속 더 공고해진 특권의식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4.0207:30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았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풍력

  • 25.04.0207:30
    (하)대만전력공사
    (하)대만전력공사 "해상풍력은 하늘이 준 기회"

    "대만 중앙 산맥과 중국 본토 사이에 있는 대만해협은 지리적으로 바람이 강한 지역입니다. 하늘이 준 기회를 버릴 수는 없죠." 지난달 20일 대만 타이베이 대만전력공사에서 만난 차이즈멍 부사장은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해상풍력의 강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중앙산맥은 대만섬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산맥으로, 대만산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만에서 해상풍력 사업은 주로 서해안 지역에 이루어지고 있는데 중앙산맥

  • 25.04.0207:30
    (하)오스테드
    (하)오스테드 "韓 기업과 글로벌 해상풍력 협력하고파"

    "오스테드는 전 세계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페어 마이너 크리스텐센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지난달 21일 대만 타이베이 신이구에 있는 오스테드 아태지역 본부에서 기자와 만나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덴마크 국영 기업인 오스테드와 대만 해상풍력과의 인연은 깊고도 넓다. 오스테드는 대만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포모사1 개발에 참여한 데 이어 2024년에는

  • 25.04.0107:30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전력부족사태 온다"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아 있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 25.04.0107:30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핵융합·SMR 관심있게 보고 있다"

    "대만도 핵 관련 기술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안전성이 확보되고 핵폐기물 이슈가 해결된다면 ‘새로운 핵기술’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즈웨이 대만 경제부 능원서(能源署·에너지청) 부서장은 지난달 21일 타이베이 경제부 회의실에서 진행된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정부는 탈원전 이후에도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만은 5월17일 현재 가동 중인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