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태양광 수소 생산 효율 4배 늘리는 '광전극' 개발

시계아이콘01분 1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조인선 아주대 교수-한현수 스탠포드대 박사 공동연구

태양광 수소 생산 효율 4배 늘리는 '광전극' 개발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태양광으로 물을 분해해서 수소를 만드는 효율을 4배 이상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5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조인선 아주대 교수 연구팀은 한현수 스탠포드대 박사 연구팀과 함께 이중 정렬된 이종접합 광전극 구조를 제안해 단일 정렬된 광전극 대비 4배 이상 높은 태양광-수소 전환 효율을 갖는 광전극 구조를 개발했다.


이중 정렬(dual-textured) 구조란 서로 다른 소재를 접합 시, 비슷한 결정 구조학적 배향을 가지도록 접합한 구조를 말한다.


차세대 신재생 에너지 중 가장 유망한 에너지원으로 불리는 수소에너지. 광전극을 이용하면 태양광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을 수 있는데, 이 광전극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나노 구조가 개발된 것이다. 태양광-수소 생산 기술은 무한하고 깨끗한 태양광과 물로부터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 기술이다.


하지만 기존의 단일 광전극 소재 이용 시 광 흡수율 한계, 낮은 전기 전도도 등으로 태양광-수소 전환 효율 향상이 제한적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서로 다른 광전극 소재를 적층시키는 이종 접합 기술 활용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소재의 결정 구조학적 배향은 고려하지 않고 무작위 배향을 적층하거나 막대와 같은 나노구조에 코어쉘 형태로 적층하는 기술 위주로 연구되어, 접합 계면 및 표면에서 높은 전자·정공 재결합이 발생, 전하 수집 특성이 낮아져 특성 향상이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소재의 결정 구조학적 배향에 따라 소재 성질이 다르게 나타나는 비등방성에 주목했다. 이 원리에 기반해 표면 결정면 제어 및 이종 접합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이중 정렬 이종접합 (Dual-textured-heterostructure) 모델, 즉 위·아래 층 모두 특정 배향으로 정렬된 이종접합 구조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접합계면에서 전자?정공 재결합을 크게 줄이고 효율적으로 전하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수소 발생 반응에 유리한 결정면이 표면에 드러나 획기적으로 수소 발생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조 교수는 "에너지 생산 및 저장기술 소자 등에 광범위 하게 응용될 수 있는 이종접합 구조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면서 "다만 상용화를 위해서는 도핑 농도, 열처리 조건 최적화 및 전극 안정성 향상 등이 필요한 만큼 추가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화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에 지난 2월10일 온라인 게재됐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