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상훈의 한국유사] 청이가 몸을 던진 그 곳…왜 백령도인가

시계아이콘03분 10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필사·목판·활자본에 개작본까지
200종 넘게 나온 심청전
심청 고향도 황해도·송나라 등 제각각

中 남경상인이 인신공희한 인당수
기상악화 전복·조류표류 가능성 높은
中 절강성서 고려로 왕래하는 길목과
변산반도 일대라는 설도

심청각 자리 잡고있는 백령도
삼국유사에 풍랑 심한 곡도로 기록
장산곶과 더불어 군사·교통상 요지
세종·선조실록 등에 험한 뱃길로 유명

[이상훈의 한국유사] 청이가 몸을 던진 그 곳…왜 백령도인가
AD


"이윽고 배가 한 곳에 당도하였는데 이곳이 인당수였다. 폭풍우가 크게 일어나고 바다의 용들이 싸우는 듯 벼락이 내려치는 듯 크고 넓은 바다 한가운데 바람이 불어 큰 파도가 일어나고 폭풍우에 안개마저 자욱하게 끼어 있었다. 갈 길은 천리만리나 남고 사방이 검게 저물어 어두워지고 하늘과 땅이 소리 없이 잠기었다. 사나운 물살은 떠들어와 배 앞부분에 탕탕 부딪히고 물결이 우르르 출렁거렸다."


심청전의 일부 내용이다. 심청전은 "심청이 아버지 심봉사의 눈을 뜨게 하려고 공양미 300석에 팔려 인당수에 몸을 던진다"는 얼개다. 하지만 심청전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렇게 단순한 스토리가 아니다. 심청전은 필사본, 목판본, 활자본뿐만 아니라 개작본까지 포함해 200종이 넘는다.


심청의 고향은 황해도 황주의 도화동이라 알려져 있다. 하지만 초기 심청전 판본에는 송나라 유리국, 대명 남군땅, 송나라 황주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황해도 황주가 아니라는 말이다. 심청전은 고려와 송나라를 오가던 상인들의 이야기가 조금씩 변형되어 17세기 무렵에 형성되었다고 파악된다. 원래 심청 이야기는 송나라, 고려, 조선을 거쳐 변용·확산되면서 우리나라에 정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소설 계통과 판소리 계통으로 전승되면서 더욱 복잡해졌고, 일제시기를 전후해 이본(異本)들이 증가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우리는 남경 뱃사람들입니다. 인당수의 용왕님은 사람을 제물로 받기 때문에 온몸에 흠 하나 없고 효성과 정절을 갖춘 행동을 하는 십오 세나 십육 세 먹은 처녀가 있으면 많은 돈을 주고 살 것입니다!" 심청전에 중국 남경 상인이 등장하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려를 왕래한 송나라 상인 대부분은 절강성·복건성·광동성 등 주로 강남 출신이었다.


고대부터 바다를 통해 중국에서 한반도로 넘어오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었다. 첫째, 서해 연안(沿岸) 항로다. 중국 산동반도 등주(登州)에서 북쪽으로 발해(渤海)를 건너 요동반도에 이르고, 다시 요동반도 연안을 따라 동쪽으로 항해해 압록강 하구에 이르는 항로다. 둘째, 서해 횡단(橫斷) 항로다. 산동반도 등주에서 곧장 정동(正東)으로 항해해 백령도 일대에 이르는 항로다. 셋째, 서해 사단(斜斷) 항로다. 중국 강남 일대에서 동북쪽으로 비스듬하게 항해해 변산반도 일대에 이르는 항로다.


남경 상인들이 서해를 건너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연안을 따라 이동하는 연안 항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동 시간이 길고, 얕은 수심으로 인해 기상에 따라 좌초의 위험이 있었다. 가장 빠른 방법은 서해를 동북쪽으로 건너는 서해 사단 항로다. 사단 항로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지만 기상에 따라 전복되거나 조류를 타고 표류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당수는 중국 절강성에서 주산군도를 거쳐 고려로 왕래하는 길목에 위치한다는 견해가 있다. 중국 상인들이 풍향, 조류, 파도를 예측할 수 없는 해역에서 인신공희(人身供犧)를 했다는 설이다. 또 서해 사단 항로를 감안할 때, 인당수는 우리나라의 변산반도 일대라는 견해도 제시되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최서북단에 위치한 백령도에는 심청각이 들어서 있다. 그렇다면 왜 백령도 인근에 인당수라는 전래가 남게 되었을까.


[이상훈의 한국유사] 청이가 몸을 던진 그 곳…왜 백령도인가 이상훈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삼국유사’에는 "신라 진성여왕 때 양패가 당나라 사신으로 갈 때, 배가 곡도(鵠島)에 이르니 풍랑이 크게 일어나 10여일 동안 머물렀다"고 되어 있다. 곡도는 지금의 백령도다. 백령도는 삼국 시대에 곡도라고 불렸는데, 고려 시대에 백령(白翎)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고대부터 서해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다.


백령도에서 북쪽으로 바라보면 북한의 장산반도가 눈에 들어온다. 불과 13㎞ 정도 떨어져 있을 뿐이다. 바다를 향해 서쪽으로 크게 튀어나와 있는 장산반도를 돌아서 항해하는 것은 지금도 어려운 일이다. 전근대 시기에는 더 말할 것도 없었다. 백령도는 서해 횡단 항로를 경유한 외부 세력이 처음 도착하는 곳이고, 장산곶은 서해 연안 항로를 경유한 외부 세력이 반드시 우회해야 하는 곳이었다. 백령도(섬)와 장산곶(육지)은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며, 신라 서북에서 가장 중요한 군사·교통상 요지였다.


‘세종실록’에는 "황해도 장연의 장산곶은 바다 쪽으로 4·5식(息)쯤 들어가 있어서 수로가 험난하기 때문에 경기도로부터 평안도에 이르는 조운이 통하지 못한다"고 되어 있다. 1식은 약 30리다. 120~150리, 즉 48~60㎞나 돌출해 있다는 말이다. ‘선조실록’에는 "장산곶 근처는 뱃길이 대단히 험하여 평상시에도 평안도 배들이 언제나 파선당하곤 하였다"고 되어 있다. 또 ‘효종실록’에는 "황해도의 조운선이 장산곶에 이르러 여러 번 엎어졌다"고 되어 있다. 기록에서 보듯이 장산곶은 조선시대 내내 항해가 곤란한 지점이었다. ‘영조실록’에는 장산곶에 대한 군사 대책이 남아 있다.


"장산곶은 바닷길이 아주 험악하므로 황해도 조련(操鍊)하러 나가는 군사가 매번 이곳에서 뒤집어지거나 빠지며, 황당선(荒唐船)이 출몰하는 첫 길이 바로 장연 앞바다이니 진실로 우려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장산곶의 북쪽에다 별도로 한 군영(軍營)을 설치하여, 더러는 수사(水使)로 하여금 조련하게 하고 더러는 해당 병영으로 하여금 전적으로 관장하게 하여 그 조련을 주관하도록 한다면 군사들이 빠져 죽는 근심은 없어질 것입니다. 황당선 또한 감히 멋대로 다니지 못할 것입니다."


1771년 장연부사(長淵府使) 홍화보가 영의정 김치인에게 보고한 내용이다. 장산곶 일대를 항해하는 것이 어려우니, 장산곶 북쪽에 별도의 군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치인이 이러한 내용을 영조에게 아뢰자, 영조는 장산곶 남쪽과 북쪽으로 나누어 군사를 조련하도록 명하였다. 항해의 어려움 때문에 군사 조련이나 외적 대처도 장산곶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상훈의 한국유사] 청이가 몸을 던진 그 곳…왜 백령도인가 1936년 일본 해군성 수로부에서 제작한 '장산곶지압록강구 조선서안(長山串至鴨綠江口 朝鮮西岸)' 해도.

1936년 일본 해군성 수로부에서 제작한 ‘장산관지압록강구(長山串至鴨綠江口) : 조선서안(朝鮮西岸 )’ 해도(海圖)에는 다양한 해저 정보가 담겨 있다. 일반 육지 중심의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는 수심, 암초, 사퇴(砂堆)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907년 일본 해군성 수로부에서 제작한 ‘조선수로지’에는 보다 구체적인 정보가 확인된다. 대청도와 소청도 사이는 조류 속도가 3노트인 반면, 장산곶 부근은 5~7노트로 2배 정도 빠르다고 되어 있다. 1노트는 약 1.85㎞/h다. 장산곶 부근의 조류 속도는 시속 9~13㎞라는 말이다.


또 1953년 일본 해상보안청에서 제작한 ‘조선서안수로지’에는 백령도 동단 2.5㎞ 지점부터 남남동 방향으로 폭 280~740m, 길이 10㎞ 정도의 사퇴(砂堆)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해저의 대규모 사퇴와 암초들은 선박 항해에 치명적이다. 특히 대양 항해를 하는 선박 대부분은 바닥이 뾰족한 첨저선(尖底船) 형태였기 때문에, 평저선(平底船)보다 훨씬 위험했다.


백령도와 장산곶 일대는 풍향, 풍력, 조류 방향이 자주 크게 바뀌는 곳이다. 현대에도 기상이 좋지 않으면 항해를 조심해야 하는 곳이다. 전근대 시기에는 해저 지형을 알 수 없었던 상황에서 서해안의 밀물과 썰물의 영향까지 받아야 했다. 당시 가늠할 수 없는 바다의 변덕에 인간은 무력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심청전의 ‘인당수’가 백령도와 장산곶 일대에 정착하게 되었던 것이다.


AD

이상훈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1308:00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조만간 정부를 떠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머스크도 떠날 시점이 올 것이다. 아마 몇 달 후가 될 것 같다"라고 발언하면서 머스크의 조기 사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머스크가 이탈리아 극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814:57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시중 은행 고위 임원 A씨는 올해 들어서 전국의 지점에서 올라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매일 보고 받는 중이다.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면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의 작은 지점에서 벌어지는 1000원 단위의 작은 계산 착오 문제까지 본인에게 책임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라 신경 써야 할 일이 배로 늘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 B씨는 최근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날 때마다 책무구조도와 관련된 하소연을 듣는 일이 많아

  • 25.04.0806:10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1406:50
     변호사·회계사 전문직 전성시대
    변호사·회계사 전문직 전성시대

    편집자주한국에 기업을 사고파는 사모펀드(PEF)가 처음 등록된 지 20년째다. 2005년 2000억원에 불과하던 시장은 140조원이 넘는 규모로 급성장했다. 홈플러스 사태에서 보듯 사모펀드는 이제 일반인의 일상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 사모펀드 업계를 좌지우지하는 주요 인물들이 누가 있는지 샅샅이 파헤쳐 본다. 어디서나 환영받는 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직들도 사모펀드(PEF) 업계에서 활약하고 있다. 사모펀드 초창기부

  • 25.04.1106:50
    뼛속까지 '삼성맨'이었는데 이젠 이곳에서 일한다...투자시장 '주역'
    뼛속까지 '삼성맨'이었는데 이젠 이곳에서 일한다...투자시장 '주역'

    편집자주 한국에 기업을 사고파는 사모펀드(PEF)가 처음 등록된 지 20년째다. 2005년 2000억원에 불과하던 시장은 140조원이 넘는 규모로 급성장했다. 홈플러스 사태에서 보듯 사모펀드는 이제 일반인의 일상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 사모펀드 업계를 좌지우지하는 주요 인물들이 누가 있는지 샅샅이 파헤쳐 본다. 글로벌 금융사와 컨설팅 회사 출신이 주를 이루는 국내 사모펀드 업계에서 눈에 띄는 인맥이 있다. ‘1등 기업

  • 25.04.1006:48
     자본시장 곳곳에 퍼진 스틱·IMM 인맥
    자본시장 곳곳에 퍼진 스틱·IMM 인맥

    편집자주한국에 기업을 사고파는 사모펀드(PEF)가 처음 등록된 지 20년째다. 2005년 2000억원에 불과하던 시장은 140조원이 넘는 규모로 급성장했다. 홈플러스 사태에서 보듯 사모펀드는 이제 일반인의 일상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 사모펀드 업계를 좌지우지하는 주요 인물들이 누가 있는지 샅샅이 파헤쳐 본다. 1997년 IMF 외환위기는 국내 산업에 대변혁을 일으켰다. 대기업 구조조정으로 수많은 기업이 도산한 빈자리를,

  • 25.04.0906:47
     기업 깎고 붙이고…'최적화' 전문 컨설턴트 출신들
    기업 깎고 붙이고…'최적화' 전문 컨설턴트 출신들

    편집자주한국에 기업을 사고파는 사모펀드(PEF)가 처음 등록된 지 20년째다. 2005년 2000억원에 불과하던 시장은 140조원이 넘는 규모로 급성장했다. 홈플러스 사태에서 보듯 사모펀드는 이제 일반인의 일상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 사모펀드 업계를 좌지우지하는 주요 인물들이 누가 있는지 샅샅이 파헤쳐 본다. 소수 정예가 활동하는 사모펀드(PEF) 시장에서 글로벌 컨설팅회사 출신들의 존재감은 두드러진다. 성장 여력이

  • 25.04.0806:54
     사모펀드 핵심 인맥 'IMF 충격' 속에서 자랐다
    사모펀드 핵심 인맥 'IMF 충격' 속에서 자랐다

    편집자주기업을 사고파는 사모펀드(PEF)가 한국에 처음 등록된 지 20년째다. 2005년 2000억원에 불과하던 시장은 현재 140조원이 넘는 규모로 급성장했다. 홈플러스 사태에서 보듯 PEF는 이제 일반인의 일상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 PEF 업계를 좌지우지하는 주요 인물들이 누가 있는지 샅샅이 파헤쳐 본다. 국내법상 사모펀드(PEF)가 공식적으로 탄생한 것은 2005년이다. 2004년 말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이 개정되면서 기관

  • 25.04.1308:00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조만간 정부를 떠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머스크도 떠날 시점이 올 것이다. 아마 몇 달 후가 될 것 같다"라고 발언하면서 머스크의 조기 사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머스크가 이탈리아 극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814:57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시중 은행 고위 임원 A씨는 올해 들어서 전국의 지점에서 올라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매일 보고 받는 중이다.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면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의 작은 지점에서 벌어지는 1000원 단위의 작은 계산 착오 문제까지 본인에게 책임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라 신경 써야 할 일이 배로 늘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 B씨는 최근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날 때마다 책무구조도와 관련된 하소연을 듣는 일이 많아

  • 25.04.0806:10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