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종 1석 늘고, 서울 줄어, 강원엔 공룡선거구…국회로 공 넘어간 획정안(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선거구획정위, 자체안 만들어 국회 제출
서울 노원·경기 안산·강원·전남 1석씩 통폐합
지역구 총 253개…문희상 "농어촌산간지역 배려 미흡"

세종 1석 늘고, 서울 줄어, 강원엔 공룡선거구…국회로 공 넘어간 획정안(종합)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4월 총선 선거구가 윤곽을 드러냈다. 세종과 경기 화성, 강원 춘천, 전남 순천 지역의 선거구를 1개씩 늘리고 서울 노원과 경기 안산, 강원, 전남의 선거구를 1개씩 줄여 253개 선거구에 맞췄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는 3일 자체 획정안을 만들어 국회에 제출했다. 여야가 선거구획정 기준 합의에 실패하면서 획정위가 독자적으로 만들었다.


지역구 의석수는 지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253석으로 고정됐다. 획정위는 합구와 분구의 기준이 되는 인구하한을 13만6565명, 상한을 27만3129명으로 설정하고 획정작업을 진행했다. 이는 선거일 기준 15개월 전인 2019년 1월말 표준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편차를 설정한 값이다.


이에 따라 인구 상한보다 인구수가 넘치는 선거구는 분구되고, 하한보다 미달되는 선거구는 통폐합됐다.


분구 선거구는 총 4곳이다.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 갑·을 ▲경기 화성시 갑·을·병 → 경기 화성시 갑·을·병·정 ▲강원 춘천시 → 강원 춘천시 갑·을 ▲전남 순천시 → 전남 순천시 갑·을로 선거구가 늘었다.


통합된 선거구도 총 4곳이다. 서울 노원구 갑·을·병이 서울 노원구 갑·을 선거구로 통합됐고, 경기 안산시 상록구갑·상록구을·단원구갑·단원구을 선거구도 경기 안산시 갑·을·병으로 통폐합됐다. 강원도와 전라남도도 1개씩 선거구가 늘면서 다른 지역의 선거구가 통폐합됐다.


강원도의 경우 ▲강릉시, 동해시삼척시,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속초시고성군양양군,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등 5개 선거구가 ▲강릉시양양군, 동해시태백시삼척시,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속초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고성군 등 4개 선거구로 통폐합됐다. 이번 통폐합으로 인해 6개 지역이 묶이는 공룡 선거구가 탄생한 셈이다.


전라남도는 ▲목포시, 나주시화순군, 광양시곡성군구례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영암군무안군신안군 등 5개 선거구가 ▲목포시신안군, 나주시화순군영암군, 광양시담양군곡성군구례군, 무안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등 4개 선거구로 정리됐다.


이밖에 인천과 경북 권역 내에서 선거구가 1곳씩 조정됐고, 11개 선거구가 자치구·시·군 내 경계가 조정됐다. 부천시 원미구갑·원미구을·소사구·오정구는 행정구 폐지에 따라 명칭이 갑·을·병·정으로 변경됐다.


이에 따라 시도별 정수는 ▲서울 48개 ▲부산 18개 ▲대구 12개 ▲인천 13개 ▲광주 8개 ▲대전 7개 ▲울산 6개 ▲세종 2개 ▲경기도 60개 ▲강원도 8개 ▲충청북도 8개 ▲충청남도 11개 ▲전라북도 13개 ▲경상남도 16개 ▲제주 3개다.


김세환 위원장은 "합리적인 획정안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법정제출기한을 1년 가까이 넘기고 제출한데 대해 국민께 송구하다"며 "시도별 정수 확정을 (국회에) 여러차례 촉구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함에 따라 선거관리에도 차질을 빚었다"고 말했다.


그는 획정안에 대해선 "선거구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했다"며 "다만 농어촌산간지역 대표성을 반영하고자 노력했음에도 아쉬움이 남는 선거구가 있다"며 "향후 매번 지연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역대표성을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회는 선거구획정위가 제출한 획정안을 검토한 후 본회의에서 처리할 예정이다. 여야 원내대표는 획정위가 자체적으로 만든 안을 최대한 존중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다만 문희상 국회의장은 "농어촌산간지역을 배려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하는데 6개군을 묶는 것은 법률에 배치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동안 교섭단체 간 논의해온 내용이 충분히 반영됐는지 미흡한 감이 있다"고 말했다고 한민수 국회 대변인이 전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