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특파원 칼럼]글로벌리즘은 짝사랑이 아니다

시계아이콘01분 33초 소요

[특파원 칼럼]글로벌리즘은 짝사랑이 아니다 김은별 아시아경제 뉴욕 특파원
AD


[아시아경제 뉴욕 김은별 특파원] 늦은 여름휴가를 보내기 위해 미 콜로라도주 덴버로 이동하던 길이다. 설레는 마음으로 공항철도에 탑승한 순간 한 노인이 옆자리에 앉았다. 미국 석유회사의 로고가 박힌 모자를 쓴 노인은 아들을 만나러 이곳을 찾았다고 했다. 대부분의 미국인처럼 그는 대화를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자신은 고등학교밖에 졸업하지 못했지만 석유회사에서 평생 돈을 벌었고 세 명의 자녀도 키울 수 있었다고, 미국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고 노력한 만큼 보상해 주는 나라가 또 어디에 있냐며 말문을 열었다. 뒤이어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일자리를 미국인들에게 더 주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기쁜 일이라고 덧붙였다. 힘들게 키운 자식들은 자신의 말에 동의하지 않아 답답하다는 말도 이었다.

약 30분간 이어진 그의 말을 요약해보면 이렇다. 미국인들 중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절반 정도는 아직도 이 정책을 지지한다. 석유ㆍ석탄ㆍ철강산업 일자리가 없었다면 자신과 같은 세대가 아들 딸을 로스쿨, 메디컬스쿨에 보내긴 어려웠을 것이다. 그런데 요즘 젊은 사람들, 특히 '블루 스테이트(민주당 지지주)'에 있는 이들은 너무 순진해 빠졌다. 십만달러 가량을 쏟아부어 학위를 받고도 일자리가 없어 허덕이면서도 미국 우선주의 정책엔 반대한다니, 이처럼 연약한 생각이 어디 있냐는 주장이다.


이 대화를 미국인이 아닌 내게 하는 이유를 물었다. 나와 같은 사람이 당신들의 일자리를 뺏고 있는 느낌이 드냐고. 꼭 그렇지도 않다며 대답한 내용이 압권이다. "미국은 미국인이 아닌데도 대통령이 될 수 있는 아주 멋진 나라다. 능력있는 사람은 받아들여야 한다"고. (트럼프는 오바마 대통령의 출생지가 확실하지 않다는 주장을 펼친 바 있다.) 전 세계 고급인재는 받아들이되, 근간산업 일자리는 미국인들에게 되돌려주면서 교육을 많이 받지 못한 '원조' 미국인들이 과거의 영광을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극히 백인 중심적이고 미국인 우월주의적인 그와의 대화는 많은 걸 생각하게 했다. 우린 어린 시절부터 '이제는 글로벌 시대', '세계화 시대에 발맞춰야 한다'는 말을 수도 없이 들었다. "국제화와 세계화의 차이가 뭐꼬?(김영삼 전 대통령)", "국제화를 세게 하면 세계화입니다.(YS정부 청와대 참모)", "세게 하래이.(김 전 대통령)". 이 일화가 유명한 농담이었을 정도로 90년대 우리는 글로벌화에 발맞추기 위해 뛰었다. 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이후엔 개방을 통해 손해를 보더라도 선진국 위상에 맞춰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했다.


그러나 기차에서 만난 이 노인처럼, 미국인을 비롯한 유럽인, 중국인들까지도 요즘은 각 국가가 자신만의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는 시대가 된 것 같다. 우리가 지금껏 생각하고 배운 세계화, 글로벌화는 이미 시대착오적인 것이 된 것 아닐까 하는 느낌까지도 받았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해 말, 현재까지는 대부분 국가들의 정책이 세계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새해에는 극우파 정치인들이 이끄는 민족주의 바람이 거세게 불어닥칠 것이란 분석을 내놓았다. 최근 미국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ㆍ나프타), 한미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하며 "언제까지 미국이 손해볼 순 없다"고 주장한다. 이런 시대이지만 아직도 한국은 우리가 원하는 바를 명확하게 주장하기도 어려운 상황인 것 같아 마음이 아플 뿐이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떠나서, 글로벌리즘은 짝사랑이 아니기 때문이다.




뉴욕 김은별 특파원 silver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