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文-트럼프 대통령 초강경 대응 예고…일촉즉발 치닫는 한반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文-트럼프 대통령 초강경 대응 예고…일촉즉발 치닫는 한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시내 세인트 존스 성공회 교회에서 허리케인 '하비' 희생자 추모 전국 기도의날 예배를 마치고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공격 여부를 묻는 질문에 "두고 보자(We'll see)"라고 짧게 답했다. 사진=AP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뉴욕 김근철 특파원]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초강경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적인 압박을 넘어 군사 제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한국과 미국 군 당국은 4일 북한의 제6차 핵실험 도발에 대응해 군사적 대응 조치 협의에 나섰다. 이에 따라 한반도 정세는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일촉즉발의 긴장 상태로 접어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핵 실험을 감행한 북한에 대한 보복 공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3일(현지 시간)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일요일인 이날 교회에 간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공격할 계획이 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두고 보자(We'll see)”라고 답했다. 6차 핵 실험 감행으로 ‘레드 라인(red line)'을 밟은 북한에 대한 군사 공격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은 것으로 미국 언론들은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위터를 통해 "미국은 북한과 거래하는 어떤 나라와도 모든 무역을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등 제3국 기업과 은행, 개인에 대해서도 제재를 가하는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 등 독자제재를 추진할 것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를 소집해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등과 북핵 문제를 논의했다.


매티스 장관은 회의가 끝난 뒤 "(군사적) 대응은 효과적이면서 압도적일 것"이라며 "미국, 괌과 같은 미국의 영토, 그리고 동맹국들에 대한 어떤 위협도 엄청난 군사적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북한과 같은 나라의 전멸을 바라고 있지 않지만, 그렇게 할 수 있는 많은 옵션이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도 3일 북한의 6차 핵 실험과 관련해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을 더욱 가중시키는 어처구니없는 전략적 실수를 자행한 것으로 실망스럽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1시 30분부터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하면서 이 같이 말한 뒤 “정부는 이번 북한의 도발에 대해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강력한 응징 방안을 강구할 것이며 북한으로 하여금 핵과 미사일을 포기하지 않을 수 없도록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력한 응징 방안’으로는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에 대한 원유수출을 금지하는 신규 제재 결의안을 미국, 일본과 함께 추진하는 것이 우선 거론된다. 미군의 전략무기 전개와 한미일 미사일방어 훈련 강화, 전술핵무기 주한미군 재배치, 대북 해상봉쇄 등도 응징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3일 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25분간 진행한 통화에서 "가장 강력한 대북 제재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두 장관은 유엔(UN) 주재 양국 대표부를 통해 강력한 제재 조치를 담은 신규안보리 결의 도출을 위해 추가적인 협의를 갖기로 합의했다.


한미 두 나라 정상이 북한에 대한 강경 발언을 쏟아내자 한미 연합군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정경두 합동참모본부 의장과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사령관겸 한미연합사령관은 북한의 핵실험 도발에 강력히 대처하는 고강도 대북 무력시위 등 군사적 대응 준비 협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최강의 스텔스 전투기인 F-22 랩터와 F-35B 라이트닝Ⅱ, B-1B와 B-52 전략폭격기를 비롯한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와 괌과 주일미군의 핵 추진 잠수함 등의 출동이 예상되고 있다.


한미 양국은 F-22와 F-35B를 오산 또는 군산 미군기지에 3개월 단위로 순환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