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文 대통령, '北 인도적 지원' 핵·미사일과 연계 안 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北, 인구 41%, 5세 미만 아동 28% 영양실조 상태"
파리협정 출싱히 이행…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

文 대통령, '北 인도적 지원' 핵·미사일과 연계 안 한다 지난 7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과 국제기구 수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함부르크=청와대
AD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탄도미사일 도발을 지속하고 있는 북한에 대한 국제 사회의 강도 높은 제재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연계하지 않아야 한다"며 "한국은 북한 영유아 영양실조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올해 유엔 보고에 따르면 북한은 전체 인구의 41%, 특히 5세 미만아동의 28%가 영양실조 상태"라며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틀 내에서 체계적이고 엄밀한 모니터링과 함께 지원이 이뤄지도록 국제기구 및 민간단체와 협력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신종 감염병과 항생제 내성 문제 등 글로벌 보건위기에 대응하고자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역할을 높여야 하며, 한국은 WHO의 긴급대응기금에 적극 기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료 취약국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늘려야 한다"며 "한국은 개발도상국들을 위해 2020년까지 13개국에 총 1억 달러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한국전쟁과 분단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 세계 난민 문제 해결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한국은 파리협정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며 유엔에 제출한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겠다"며 "에너지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꿔 친환경·저탄소 에너지로 대체하는 작업을 이미 시작했으며, 새로운 기후체제에 적극 대응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아프리카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고, 이는 아프리카를 더욱 빈곤하게 만든다"며 "한국은 전 세계의 균형 발전을 위해 의장국이 제안한 아프리카 파트너십 구상과 아프리카 연합의 어젠다 2063을 지지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기후 변화는 아프리카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국제사회가 함께 대응해야 할 문제"라며 "기후 변화 대응은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이자 새로운 일자리와 성장 동력을 창출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