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본회의 개의 1시간, 재석의원은 단 42명…與野 4당 원내대표는 단 1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전경진 기자] 개점 휴업했다가 열린 6월 임시국회의 본회의에서 불과 40여명의 의원만이 자리에 남아 동료 의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구태(舊態)가 반복됐다.


22일 열린 제351회 국회 임시회 4차 본회의에선 2006년 3월 폐지된 정당 중앙당 후원회를 11년 만에 되살리는 내용의 '정치자금법 일부개정법률안'과 '남북 이산가족 상봉 촉구 결의안'이 각각 가결됐다. 정자법 개정안은 재석의원 255명 중 찬성 233명, 반대 6명, 기권 16명으로, 촉구 결의안은 재석의원 251명 가운데 찬성 249명, 기권 2명으로 각각 통과됐다.

문제는 압도적인 표차로 각기 다른 안이 통과된 직후였다. 여야 의원들의 5분 자유발언이 시작되자마자 참석 의원의 절반가량이 본회의장을 빠져나갔다. 결국 본회의 개의 뒤 1시간가량이 지난 오후 3시께 본회의장에선 단 42명의 의원만 남아 자리를 지켰다.


이날 오전 국회 정상화 합의문 발표를 놓고 날선 대치를 벌이던 여야 원내대표 가운데는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가 유일하게 남아있었다.

그 사이 여야 의원들은 차례로 단상에 올라 의견을 개진했다.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헌정 사상 처음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이 자리에 나와 (추가경정예산안 처리를 부탁하며) 시정연설까지 했다"면서 "그럼에도 국회는 추경안에 대해 논의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윤 의원은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논의에 나서야 한다. 더 이상 심의를 방해하는 건 직무유기"라고 경고했다.


조응천 민주당 의원도 한국당이 위원장을 맡은 국회 운영위원회와 정보위원회를 겨냥해 "두 위원회의 위원장직은 여당이 맡아야한다"며 "그것이 책임정치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국당의 전희경 의원은 인사청문 과정에서 불거진 공직 후보자들의 비리의혹을 일일이 열거하며 '국정조사'를 정식으로 요청했다. "구태와 관행을 뿌리 뽑겠다는 문재인 정부가 이에 협조해 달라"며 "실망을 만회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회의 중간 여당인 민주당의 우원식 원내대표가 주 원내대표와 어깨를 치고 웃으며 대화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되기도 했다. 앞서 이날 오전 국회 정상화를 위한 여야 4당 원내대표의 합의문 발표가 결렬된 직후 우 원내대표가 눈물을 훔치던 때와는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이날 본회의는 정자법 개정안을 놓고 회의 전부터 이목을 끌었다. 중앙당 후원회를 부활하는 내용을 담은 개정안은 정당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하지 않고 직접 중앙당에 후원회를 설치해 연간 50억원까지 후원금을 모금할 수 있게 했다. 1인당 후원 한도는 500만원으로 정해졌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전경진 수습기자 kji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