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자율주행차, '교통사고 불평등' 해소할까

시계아이콘01분 1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저소득자 사고사망률 2배 높아
보행자 비율·노후차 비중 높은 탓
안전 센서 부착된 자율주행차 보편화시
직접적인 사망률 감소 견인 기대
안전대책 위한 데이터 제공 간접효과도



지난해 교통사고로 미국에서만 4만명이 목숨을 잃었다. 저소득 지역 거주자의 사망자가 두 배나 많았다. 가버닝매거진의 2014년 조사에 따르면, 인구10만명당 교통사고율이 고소득 지역에서는 5건인 반면, 저소득 지역에서는 10.4건에 달했다.

사회경제적 지위와 교통사고 사망률의 관계는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미국에서 1인당 GDP가 높은 주(州)일 수록 교통사고 사망률도 낮다. 캘리포니아주의 조사에 따르면, 교통사고 발생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연령이 아니라 소득이었다. OECD 통계에서도 마찬가지다. 경제적 조건(고소득)과 교통안전이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2010년 조사에서는, 1인당 GDP가 1500달러에 도달하면서부터는 교통사고 사망률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자율주행차, '교통사고 불평등' 해소할까 저소득층의 교통사고 사망률은 고소득층에 비해 2배 높다. 자율주행차량이 교통사고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을까.
AD


교통사고 불평등의 원인은 무엇일까. 상관관계는 인과관계보다 설명하기가 쉽다. 어떤 연구자들은 "저소득층 인구가 차량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고소득자에 비해 적다. 운전을 덜하고, 더 많이 걷게 된다"고 말한다. 즉 보행인구가 많기에 사망률도 높다는 것이다. 교통사고는 대체로 운전자보다 보행자에게 더욱 치명적이다. 2009년의 조사에 따르면, 저소득 국가에서는 교통사고 사망자의 45%가 보행자였다. 고소득 국가에서는 18%였다.


또다른 설명은 저소득 지역에서 운행되는 차량의 품질과 관련이 있다. 저소득 지역에서는 낡은 차량이 많고, 후방 카메라나 차선 유지 시스템과 같은 첨단 안전시스템이 도입된 차량이 적은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자율주행차량이 수동운전을 대체하게 되면, 교통사고 불평등이 해소될 수 있을까.


현재 미국에서 자동차 유지비는 1마일당 57센트다. 자율주행차의 보편화를 위해서는 이보다 더욱 저렴한 유지비가 산출돼야 한다. 이에 대해 바클레이스은행과 딜로이트처럼 "가능하다"고 말하는 곳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자율주행차를 개발하는 포드(Ford)는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


안전한 자율주행차량의 보편화가 저소득 지역의 교통사고 사망률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자율주행차가 비싼 가격이라면 불평등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못된다.


IT전문매체 벤처비트(VB)는 "그렇지만 자율주행차가 '평등한 도로'를 만드는데 간접적인 형태로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나무가 자기 존재의 부산물로서 산소를 만들 듯, 자율주행차가 운전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어떤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VB는 자율주행차가 도로와 주변환경에서 수집할 막대한 데이터에 큰 기대감을 표시했다. "도로에서 운행되는 자율주행차량은 교통안전분석을 위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생산해낸다. 자율주행차는 하루에만 약 4테라바이트(TB)의 데이터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한 도시의 도로센서가 생성하는 데이터는 연간 20기가바이트(GB)다. 자율주행차가 수집한 정보는 저소득 지역의 고유한 트래픽 특성을 더 잘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1TB는 1000GB다.


즉 교통안전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새로운 규범 제작·관련 대책 수립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