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원순 뉴 서울플랜]제2의 도시계획 '시민'이 만들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박원순 뉴 서울플랜]제2의 도시계획 '시민'이 만들었다 서울시의 새로운 도시관리 체계인 '서울시 생활권계획안' /
AD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시민 6000여명이 함께 만든 제2의 '2030 서울플랜'이 나왔다. 서울의 새로운 개발 방향을 담은 생활권 계획안으로 3년이 넘는 기간 동안 1000회 이상의 내부회의, 200회 이상의 자치구 협의, 약 180회의 전문가 MP회의 등 의견수렴을 거쳐 만들어진 상향식 도시계획이다.

15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역별 자족성을 강화하고 서울의 지역 균형성장을 이끌어가기 위해 새로운 도시계획체계인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을 발표했다.


핵심은 기존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개 지구를 추가 설정한 것이다. 이중 81%를 상대적으로 소외된 동북·서북·서남권에 지정해 균형 성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앞서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 취임 직후인 2013년 '서울미래 100년 도시계획 기반'을 선포, 생활권계획 도입을 약속한 바 있다. 2014년에는 서울의 도시기본계획인 '2030서울플랜'을 내놨고 2015년에는 도시계획상 헌법 역할을 하는 서울의 '도시계획헌장'을 제정, 선포했다. 이번에 수립한 생활권계획은 지난 5년간의 서울 도시계획 대장정의 결과물이자 서울의 도시계획 체계를 정교하게 보완할 수 있는 도시계획 틀로서 의미를 갖는다.


'생활권계획'은 권역별 발전방향을 제시한 광역적 계획 위주인 '2030 서울플랜'과 달리 소지역 단위 생활밀착형 계획 이슈까지 담아낸 게 특징이다. 실제 서울시는 이번 계획안을 통해 향후 정교하게 보완된 도시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민이 직접 참여한 정책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지역에 사는 주민 총 6000명이 지난 3년간 주민참여단 워크숍(230여회), 주민설명회(22회), 심포지엄 등 수많은 논의과정을 거쳐 수립했다.


서울시는 오는 18일 전문가·시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25개 자치구별 설명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추가로 수렴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6월 시의회 의견청취, 7월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협의, 8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10월 최종 확정하기로 했다.


박원순 시장은 "그동안 도시계획하면 전문가들에 의한 대규모 개발 계획이 떠올랐지만 서울시는 도시계획에 대한 기존 통념과 관성을 뒤엎고 도시계획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며 "지난 5년간의 대장정 끝에 이번에 발표한 생활권계획은 서울시민의 일상생활을 종합적으로 담은 삶의 지도이자, 미래 서울을 향해갈 수 있는 미래지도, 새로운 도시계획 모델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