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원순 뉴 서울플랜]非강남 개발 나선다, 53개 지구 추가 지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박원순 뉴 서울플랜]非강남 개발 나선다, 53개 지구 추가 지정 서울시 '생활권계획안' 계획도 / 서울시
AD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가 비 강남권 개발에 집중한다. 지역별 자족성을 강화하고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끌어내기 위한 조치다. 특히 상대적으로 저개발·소외된 강북권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박원순 뉴 서울플랜]非강남 개발 나선다, 53개 지구 추가 지정 박원순 서울시장 /

15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역별 자족성을 강화하고 서울의 지역 균형성장을 이끌어가기 위해 새로운 도시계획체계인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을 발표했다.


'생활권계획'은 '2030 서울플랜'의 후속계획이다. '2030 서울플랜'이 권역별 발전방향을 제시한 광역적 계획이었다면 서울플랜을 보다 구체적인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소지역 단위 생활밀착형 계획 이슈까지 담아낸 게 특징이다.

우선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개 지구를 추가 설정했다. 서울의 균형성장을 위해 동북권(17개소), 서북권(6개소), 서남권(20개소) 등 53개 지구 가운데 도심권과 동남권을 제외한 상대적으로 소외된 3개 권역에 81%를 집중했다.


생활권계획은 서울 전역을 5개 대생활권(권역)과 116개 지역단위 소생활권(지역)으로 세분, 지역단위로 시민의 생활과 지역과제 해결 방안을 담아냈다. 이중 권역 생활권계획은 서울을 5개 대생활권(도심권·동북권·서북권·서남권·동남권)으로 구분하고 지역특화 및 자치구간 공동 대응이슈 등 균형발전을 위해 권역별 공동이슈별로 수립했다.


지역 생활권계획은 3~5개 동을 합친 지역단위로 이뤄진다. 서울 전역을 116개로 나눠 지역 고유의 특성과 주민들의 구체적 요구를 섬세하게 담아냈다. 이와함께 75개 중심지별 발전방향 및 관리방안을 담은 가이드라인도 제시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향후 공공·민간에서 중심지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이나 개발계획을 수립할 때 지침이 될 예정이다.


박원순 시장은 "그동안 도시계획하면 전문가들에 의한 대규모 개발 계획이 떠올랐지만 서울시는 도시계획에 대한 기존 통념과 관성을 뒤엎고 도시계획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며 "지난 5년간의 대장정 끝에 이번에 발표한 생활권계획은 서울시민의 일상생활을 종합적으로 담은 삶의 지도이자, 미래 서울을 향해갈 수 있는 미래지도, 새로운 도시계획 모델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오는 18일 전문가·시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25개 자치구별 설명회를 개최한다. 최종 계획안은 시의회 의견청취, 관계기관 협의 등을 통해 10월 공개된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