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강서구, 상세주소 부여 최우수기관 선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찾아가는 상세주소 부여 서비스 등 주민생활 개선을 위한 현장행정 돋보여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일상의 불편을 줄이는 한 걸음 더 다가가는 부동산행정이 눈길을 끈다.

서울 강서구(구청장 노현송)는 서울시가 주관한 2016년 상세주소부여 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시 추천으로 행정자치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이번 평가는 2016년 한 해 동안 기존 도로명주소에 상세주소를 부여한 실적을 종합평가한 것이다.

강서구는 지난해 당초 목표치 1790건을 초과해 2086건의 상세주소를 부여했다. 이는 지난 해 서울시 자치구 평균 부여실적이 994건임을 감안할 때 평균치를 2배 이상 상회하는 우수한 성과다.

상세주소란 도로명주소의 건물번호 뒤에 표시하는 동·층·호를 이르는 것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등 다세대 건축물에는 이미 건축물대장 상의 동·층·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다가구주택, 원룸 등에 거주한 주민들은 상세주소가 없어 우편물이 반송되거나 분실되는 불편을 종종 겪곤 한다.


또 응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정확한 주소를 설명할 방법이 없어 애를 먹기도 한다.

강서구, 상세주소 부여 최우수기관 선정 강서구청사
AD

이런 경우에 건축물 소유자나 임차인 누구나 ‘상세주소 부여 신청’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지만 이를 알고 활용하는 주민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상세주소는 민원24를 통해 인터넷 신청할 수 있고, 동주민센터와 구청에 방문 또는 우편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는 구청 홈페이지에 간편 접수창구를 새롭게 마련하는 등 민원신청 창구를 다양화 하는 노력을 펼쳤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현장으로 찾아가는 상세주소 부여 서비스도 추진했다.


구는 지난해 총 1790세대에 해당하는 대상가구에 안내장을 사전발송하고 직접 현장을 방문해 도로명주소와 상세주소의 유용성을 홍보해 나섰다.

이런 적극성이 복잡한 인터넷 신청절차를 꺼려하거나 관공서에 방문할 여유가 없는 주민들의 호응을 이끌어 내면서 높은 부여실적으로 이어졌다.

상세주소 부여 신청 가구에는 현관문에 부착할 수 있는 상세주소 스티커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상세주소가 없어 각종 고지서와 택배 등 배송사고를 경험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며 “생활 속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세주소 제도를 적극 알리고 확산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서구 부동산정보과(☎2600-6477)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