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농업용저수지 저수율 '비상'…158억 투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경기도 농업용저수지 저수율 '비상'…158억 투입 경기도청
AD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 내 342개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에 비상이 걸렸다. 저수율이 예년 평균보다 20%포인트 이상 낮기 때문이다. 도는 이에 따라 158억원을 투입해 저수지의 저수율을 끌어올리는 등 봄 가뭄대책을 긴급 추진하기로 했다.

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농업용 저수지 342개의 평균 저수율은 67.8%로 평년 저수율 89.8%보다 22.1%포인트 낮다. 특히 안성시 마둔저수지, 화성시 기천저수지, 양주시 원당저수지 등 3개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36.3%로 평년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도는 이에 따라 오는 4월말까지 저수지 용수공급사업을 마무리 짓기로 했다. 이 사업은 지표수를 퍼올려 저수지에 담수하는 사업으로 도는 지난해 9월부터 저수율이 낮은 5개 저수지에 대해 20억원을 투입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안성 마둔저수지는 기반시설 설치가 완료돼 하루 최대 4300톤의 하천수를 양수해 저장하고 있다. 화성, 양주, 용인, 화성 지역 저수지도 3~4월 중 본격적인 양수 저류를 실시한다.


도는 이와는 별도로 수리시설정비사업과 영농한해특별대책 등 가뭄대책을 마련, 추진한다. 수리시설정비사업은 흙수로 등 노후수로를 보수ㆍ보강해 용수손실을 막고 영농급수와 물관리를 원활히 진행되도록 돕는 사업이다. 도는 올해 광주, 이천, 양주 등 19개 시ㆍ군 85개 용배수로 23.4km에 대한 정비사업을 진행한다.


도는 또 영농한해특별대책으로 농업용수 부족이 예상되는 안성 등 11개 시ㆍ군에 관정 28개, 양수장 3개, 보 2개, 용수로 16개 등을 설치한다.


이관규 도 친환경농업과장은 "향후 가뭄 발생에 대비해 농림축산식품부, 시ㆍ군, 한국농어촌공사와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역할 분담을 통해 가뭄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며 "가뭄대처를 위한 용수개발은 한계가 있으므로 농업인 스스로 물을 아껴쓰는 성숙한 의식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도는 올해 3~5월 강수량의 경우 평년과 비슷할 전망이지만 지난해부터 강수량 부족이 지속돼 경기남부 일부 지역은 영농기 물 부족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