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기의 삼성]SK·롯데 "특검 수사 안받나" 일단 안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경제단체와 SK, 롯데, CJ 등 일부 대기업은 삼성에 '올인'해온 특검이 다른 대기업에 대한 추가 수사가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자 대체로 안도하는 모습이다. 이들 기업은 특검은 애초 삼성 수사가 마무리된 이후 자신들을 포함해 다른 대기업을 대상으로 수사하겠다고 하자 삼성 수사와 특검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왔다.


경제단체 한 관계자는 14일 "검찰과 국회 청문회, 특검의 그간의 수사만으로 기업들은 정상적인 활동에 상당한 지장을 받아왔고 삼성은 경영마비 상태"라면서 "특검이 추가 수사 불가라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내놓은데 대해 그간의 우려가 일부 불식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대기업 임원도 "특검이 언제 소환조사하고 영장을 청구할 것인지에 좌불안석이었는데 그나마 불확실성이 사라져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경제계는 특검이 삼성에 전념하고 이재용 부회장 등 주요 경영진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특검 수사기간의 연장가능성도 있어 여전히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제단체 한 관계자는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이미 한차례 청구됐다가 법원에서 기각된 상황에서 재청구될 경우의 파장은 이전보다 더욱 클 것"이라면서 "사법부가 사실과 법리 등을 잘 살펴 현명하게 판단해 주실 일이지만 국가경제에 미칠 영향을 감안해 불구속수사가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삼성은 이미 특검에서 제기하는 추가 의혹에 대해서는 적극 반박하면서 이전보다 다른 강경한 스탠스를 취했다. 다른 대기업들은 이미 특혜나 대가성에 대한 의혹을 전면 부인해 왔다. 롯데는 면세점 신규 특허와 미르재단 등에 대한 출연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입장이다. SK와 CJ 역시 각각 최태원 회장과 이재현 회장의 사면과 관련해 청탁은 전혀 없었으며 정부의 관련 특혜나 선처를 받은 사실도 없다는 입장이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사태에 대해서는 엄정한 수사를 해야 되지만 기업을 대상으로 먼지털이식,아니면 말고식의 무차별 수사가 이뤄지고 무죄추정의 원칙마저 무너지고 있어 답답하다"면서 "경제적 파장을 최소화하고 기업을 비롯한 경제주체들이 본연의 역할에 다시 전념할 수 있도록 최대한 신속한 수사가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