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용두사미' 정상외교 경제사절단 대경방서 빠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용두사미' 정상외교 경제사절단 대경방서 빠진다 8일(현지시간) 카타르에서 개최된 '한-카타르 비즈니스 파트너십'에서 일대일 수출상담이 진행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박근혜 정부가 신규 수출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추진한 대표적인 사업인 정상외교 경제사절단이 '용두사미'로 끝날 처지에 놓였다.

대통령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연내에 다시 가동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한 상황이다.


대통령 해외순방길에 동행해 평소 만나기 어려웠던 해외 바이어를 만나거나 기업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던 기회를 놓친 손해는 고스란히 기업들에게 돌아가게 됐다.

2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오는 26일 발표될 예정인 '2017년도 대외경제정책방향(대경방)'에 정상외교 경제사절단이 제외될 것으로 관측된다.


경제 부처 관계자는 “정상외교 경제사절단의 가장 큰 의미는 대통령의 순방길에 기업들이 동행한다는 것”이라면서 “대경방에서 경제사절단 내용을 어떻게든 손을 보는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는 정상외교 단계부터 대외경제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정상외교 경제사절단 확대 운영해왔다. 2013년 박근혜 대통령 첫 순방지인 미국을 시작으로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유럽 등을 방문했다.


이외에도 인도나 중앙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신흥국 중심으로 경제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지난 4년간 32개국을 대상으로 무려 806개 기관과 기업(중복 포함)이 참여해 수출상담 등의 성과를 남겼다.


특히 박근혜 정부에서는 중소·중견기업 위주로 경제사절단을 구성하면서 평소 해외진출이 쉽지 않았던 기업들에 새로운 수출 활로를 마련해주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정부에서 내놓은 '2016년 대외경제정책방향'에서도 '신흥국 진출 종합로드맵'에 정상외교 활용 협력을 확대한다는 방안을 주요 핵심내용으로 제시한 바 있다.


'용두사미' 정상외교 경제사절단 대경방서 빠진다 KOTRA와 산업부, 경제단체는 17일 서울에서 개최된 '정상외교 경제활용 성과확산협의회'에서 정상외교 성과확산 활동에 대한 제언과 소통의 자리를 가졌다.


하지만 정상외교 경제사절단은 작년 9월 라오스 경제사절단을 끝으로 사실상 중단됐다.


작년 12월 코트라 주최로 중소기업 115개사가 참여한 일본 경제사절단을 운영해 명맥을 이었지만,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할 관계기관이나 협회·단체, 대기업 등은 참여하지 않아 규모가 대폭 축소됐다.


특히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한 모 성형외과가 박 대통령과 함께 경제사절단에 동행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경제사절단이 가진 의미까지 퇴색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더욱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해지며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경제사절단 중단은 더욱 뼈아픈 상황이다.


경제사절단에 참여했던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수출 상담뿐만 아니라 그 나라에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기회였다”면서 “정치적 논란을 넘어서 기업들의 진출을 돕는 경제사절단은 계속 운영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