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 19일 촛불집회 후 토론회 개최해 향후 진로 모색...'더 강한 압박 수단' 강구할 듯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최순실 게이트' 정국이 국민과 박근혜 대통령간 '치킨게임' 양상으로 진행되면서 촛불시위대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연이은 100만 촛불집회에도 끄떡없는 박 대통령을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다. 그렇다고 비폭력ㆍ평화 촛불집회 외에 마땅히 다른 방도가 있는 것도 아니다. 차기 대권ㆍ당권을 고려해 이전투구 중인 정치권에 해법을 기대하기도 힘들다. 1987년 체제를 대신할 새로운 사회로 변화하는 계기를 삼기 위해서도 비폭력ㆍ평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다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민중총궐기투쟁본부, 민주노총, 4.16연대 등 150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도 시민들과 함께 이같은 딜레마를 해소하려고 나섰다. 퇴진행동은 19일 촛불집회를 마무리한 직후인 오후 9시부터 자정까지 서울시청사 시민청에서 '와글와글 시민평의회'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서 주최 측은 - 남녀노소 누구나, 예비대선후보에서 초등학생까지 공평하게 발언 기회를 주면서 "박근혜 퇴진 어떻게?"에 대해 토론할 계획이다. 퇴진 행동 측은 "누구나 비난받지 않고 안전하게 발언할 권리를 누릴 것이고, 누구의 의견이든 소중히 기록될 것이며, 진행자들은 제안사항이 수렴되도록 노력하되, 어거지로 결론을 내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며 "현 시국의 해법을 찾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시민들 사이에서도 '촛불 민심'을 거역하는 박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 '행사용 시위'가 아닌 더 강력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의견이 분출하고 있다. 대표적 진보 논객 중 한명인 김규항 고래가그랬어 발행인이 대표적 사례다. 그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지난 12일 100만명이 넘게 모인 3차 촛불집회에 대해 "경찰이 권고하는 시위 태도를 벗어나면 프락치라는 비난이 오가는 순치된 시위는 과연 백만명의 위협을 만들어냈을까"라며 "오히려 백만명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위협을 구현해낸 게 아닐까"라고 말했다. 즉 비폭력ㆍ평화 집회 외에도 박 대통령을 압박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날 열리는 제4차 촛불집회는 향후 정국의 향배를 가를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날 촛불집회의 양상에 따라 각 주체들의 대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 뿐만 아니라 부산, 광주, 대전 등 주요 도시는 물론 시ㆍ군ㆍ구 등 전국 100여곳에서 촛불이 켜진다. 서울 광화문에선 수도권 시민들이 모여 청와대를 포위하는 '학익진'을 펼친다. 퇴진행동은 지난 17일 '11ㆍ19 국민 학익진 작전 지도'를 공개했다.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에서 북진하면서 경복궁 양 둘레를 에워싸며 행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참가자들은 오후 2시 도심 곳곳에서 사전집회를 한 뒤 광화문광장으로 행진해 오후 6시 범국민행동 본행사를 연다. 이후 저녁 7시반부터 8개 경로를 이용해 청와대 방향으로 행진한다. 대입 수능을 마친 60만 수험생들이 어느 정도 참가할 지 주목된다. 민주노총 등 주요 시민사회단체들이 30일 총파업 등의 이유로 조직 동원령을 내리지 않아 일반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여부가 집회 규모를 결정할 전망이다.
앞서 경찰이 전날 시민 불편이 초래된다며 내자동 로터리와 율곡로 남단 앞쪽까지로 행진 코스를 제한한 상태다. 참여연대는 이에 반발해 18일 오후 법원에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고, 이날 집회 시작전 결론이 나올 예정이다.
보수 단체의 맞불 집회도 진행돼 충돌이 우려된다. '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박사모)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역 광장에서 2~3만명이 모여 집회를 열고 오후 4시쯤에는 광화문까지 행진할 예정이다. 양측은 평화 집회ㆍ폭력 맞대응 자제 등을 천명했지만 장담할 수 없는 상태다.
경찰은 이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서울을 비롯한 전국 주요 집회 지역에 총 253개 중대 2만2500여명을 투입한다. 그중 가장 많은 인원이 몰릴 것으로 보이는 서울에만 집회 현장 주변으로 202개 중대 1만8000여명을 배치한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