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 압수수색 이어 현대차 부사장 소환…조여오는 檢 vs 재계 긴장고조(종합2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초

삼성 압수수색 이어 현대차 부사장 소환…조여오는 檢 vs 재계 긴장고조(종합2보) 삼성 서초사옥 전경. (출처 : 아시아경제 DB)
AD

-전격적인 압수수색이어 현대차 등 대관라인 줄소환
-미르ㆍK스포츠 53개사 조사진행중…이번엔 삼성
-국정농단의혹이 정경유착으로 확산…독대설 총수들까지 소환가능성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검찰이 8일 재계 서열1위 삼성을 압수수색하고 이어 서열2위 현대차 부사장을 소환하는 등 '최순실게이트'수사의 속도를 내자 재계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검찰이 이미 미르ㆍ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53개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진행키로한 상황에서 주요 기업 대관라인들이 줄소환되고 있다. 여기에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한 것으로 알려진 재계 총수의 소환가능성마저 언급되자 재계 전반에 사정(司正)한파가 불고 있다.

삼성은 8년 만에 진행된 검찰의 압수수색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검찰의 삼성에 대한 압수수색은 2007년 삼성특검 이후 9년 만이며 삼성이 태평로 사옥에서 서초사옥으로 이전한 2008년 이후로는 8년 만이다. 2012년 K9 자주포에 중고 부품이 사용된 정황을 잡고 삼성테크윈을 압수수색 한 적은 있지만, 삼성 그룹 차원의 압수수색은 8년 만이다.


삼성은 최순실씨와 딸 정유라씨 모녀 회사인 코레스포츠(현 비덱스포츠)에 280만유로(약 35억원)를 특혜 지원한 의혹을 받고 있다. 서초사옥은 삼성의 심장부다. 이건희 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집무실이 있고, 삼성 미래전략실도 이곳에 있다.

삼성 압수수색은 최순실 게이트가 확산되면서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 삼성 관계자도 "기존부터 검찰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며 "기존 입장과 변화가 없으며, 투명하게 밝힐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침 일찍부터 검찰에서 나온 20여명의 수사관들이 들이닥쳐 컴퓨터와 노트북 하드디스크와 서류 등을 압수하자 임직원들의 당혹스러운 표정이 곳곳에서 연출됐고 삼삼오오 심각한 대화를 나누는 모습도 포착됐다. 삼성은 2008년 김용철 전 삼성그룹 법무팀장의 폭로로 시작돼 100여일간 특검 수사를 받으며 잊을 수 없는 상처를 가졌다. 글로벌 기업인 삼성그룹이 비자금을 조성해 불법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과 함께 삼성 태평로 본관이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석 달 이상 강도 높은 수사를 받아 오면서 삼성의 대외 신인도는 추락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지켜본 임직원들의 사기는 땅에 떨어졌다.


이날 현대차에서 대관을 담당하던 박모 부사장도 검찰에 소환됐다. 검찰은 미르ㆍK스포츠 재단에 출연금을 낸 기업을 모두 조사해 배경을 규명하겠다는 것이다.미르ㆍ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기업은 53개사에 달해 해당기업 담당자들의 줄소환이 예고된 상태다.


검찰은 특히 박 대통령과 독대한 것으로 알려진 그룹 총수들에 대해서도 소환 대상에 신중을 기하겠지만 '사실대로 얘기하지 않으면' 소환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7월 24일과 25일 삼성, 현대차, LG, SK, 롯데, 한화 등 6,7곳의 기업 총수와 독대해 두 재단의 지원을 요구했고 일부 기업은 친기업정책이나 그룹 현안 해소와 같은 대가를 얻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해당 그룹 모두 사실을 부인하거나 함구하고 있다.


한진그룹은 이날 "당시 조양호 회장은 국내에서 업무를 보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대통령과 비공개 면담을 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롯데그룹이 경우 지난 2월 말∼3월 초 신동빈 회장이 검찰의 수사를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한 정황이 있다는 한겨레신문 보도에 대해 "당시 신 회장의 일정을 확인해봤지만 보도에 언급된 시기에는 주로 일본과 싱가포르에 머물러 대통령과 독대한 적이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면서도"해당 시기 이외의 일정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처럼 최씨의 국정농단 의혹에서 출발한 검찰 수사의 방향이 재계 전체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재계 관계자들은 허탈해하고 있다. 자칫하면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등 국정과제에 참여한 모든 기업과 기업인이 수사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들은 "검찰이 적정한 절차에 따라 수사하는 것에 대해 뭐라고 말할 순 없지만 일련의 사건이나 세간의 의혹 때문에 '별 잘못이 없는데 혹시 우리한테도 검찰 수사가 들어오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