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생활의 계약, 제도 이해에 매우 유용"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올해 노벨 경제학상의 영예는 올리버 하트와 벵 홀스트롬 교수에게 돌아갔다. '계약 이론'(contract theory)을 발전시킨 공로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0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영국 출신 올리버 하트(68·사진 왼쪽) 하버드대 교수와 핀란드 출신 벵 홀스트롬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67·오른쪽)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이 다양한 문제들을 분석하기 위한 포괄적 틀인 계약 이론을 개발해왔다고 설명했다.
위원회는 "현대 경제는 수많은 계약으로 함께 묶인다"며 "두 교수가 만들어낸 도구는 실생활의 계약과 제도들, 그리고 계약을 고안할 때의 함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또 고용주와 근로자, 회사와 고객이 거래할 때 어떻게 최선의 계약서를 쓰는지, 계약을 통해 당사자들이 상호 이익을 어떻게 보장 받는지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두 학자의 계약 이론은 최고경영자(CEO)의 성과연동형 보수, 보험에서의 세금 공제금과 고용인 부담분, 공공 부문 민영화 등을 분석하는 틀로 활용된다고 위원회는 소개했다.
개별 프로필을 살펴보면 하트 교수는 프린스턴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런던정경대, MIT 경제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하버드대 경제학과 학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2014년 연세대 석좌교수로 임용됐던 경력도 있다.
그는 계약 이론의 선구자로 통한다. 1980년대 '불완전한 계약'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는 계약 이론의 새로운 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특히 계약이 만일의 사태를 하나도 빠짐없이 특정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 경영 지배권을 명확하게 할당하도록 했다. 계약 당사자 중 누가 어떤 조건일 때 결정을 할 권한을 갖도록 하느냐를 분명하게 정하는 것이다.
불완전 계약에 관한 하트 교수의 연구 결과 덕에 기업의 소유, 경영을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게 됐다. 아울러 해당 연구는 어떤 기업들이 합병해야 하는지, 학교와 교도소 같은 기관들이 공영화 또는 민영화해야 하는지 판단할 새로운 이론적 도구가 됐다.
홀스트롬 MIT 교수는 스탠포드대 박사 학위가 있다. 앞서 노스웨스턴대와 예일대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최적의 계약'에 관한 권위자로 1970년대말 '주인-대리인 모델'을 통해 주주가 CEO와의 최적화한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줬다. 한 회사의 주인격인 주주가 자신의 감시망에서 일부 벗어난 대리인인 CEO와의 계약을 성과와 연결된 정보를 토대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홀스트롬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보수뿐만 아니라 승진으로 보상을 받는 근로자, 주인이 부분적인 성취만 보고 있음에도 많은 일에 노력을 쏟는 대리인, 팀 동료의 노력에 무임승차하는 개별 팀원 등을 판단하는 분야로까지 일반화했다.
노벨위원회는 홀스트롬, 하트 교수가 기본적인 연구의 비옥한 토양으로서 계약 이론을 연구했고 이후 수십년 동안 그 이론을 응용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계약 최적화에 대한 이들 학자의 분석이 파산 법규부터 정치적인 법률까지 많은 분야에서 정책, 제도를 고안하는 데 초석을 놓았다"고 평가했다.
시상식은 창설자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릴 예정이다. 노벨 경제학상 상금은 800만 크로나(약 11억원)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