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한국형 유튜브'로 알려진 K콘텐츠뱅크(www.kcontentbank.com)를 통한 콘텐츠 판매실적이 현재까지 4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윤종오 의원(무소속, 울산 북구)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콘텐츠뱅크 사업이 본격 시작된 올해 초부터 현재까지 K콘텐츠뱅크에 등록된 콘텐츠 중 단 5개의 콘텐츠가 4건의 계약을 통해 태국과 몽골에 판매됐다.
판매 금액은 2만6700달러(약3000만원)다. 이는 작년도 우리나라 방송수출액 4억2000만달러의 0.006%에 해당한다.
미래부는 국내 방송콘텐츠의 브랜드가치 향상과 중소PP 및 제작사, 1인 창작자 등 방송콘텐츠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온라인 마케팅·홍보를 지원하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한다는 명분으로 K콘텐츠뱅크를 만들었다.
K콘텐츠뱅크 사업에는 작년부터 올해까지 약 16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K콘텐츠뱅크의 가장 큰 문제는 콘텐츠 부족으로 파악된다.
윤종오 의원은 "지상파사업자 중 MBC와 KBS는 K콘텐츠뱅크에 콘텐츠를 단 하나도 등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TVN이나 JTBC같이 인기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국내PP는 K콘텐츠뱅크에 계정을 등록조차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미래부가 한국방송전파진흥원에 맡긴 연구용역에는 K콘텐츠뱅크의 성공을 위한 첫 번째 조건으로 '상업적 가치가 높은 콘텐츠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윤종오 의원은 "미래부가 볼만한 콘텐츠도 제대로 확보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사업활성화를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