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카드사 O2O서비스 '색깔없는 경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모바일플랫폼 구축 줄줄이 나섰지만 차별화 없이 제휴처 늘리기에만 급급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카드사들이 잇따라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서비스(Online to Offline·O2O)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있다. 모바일 중심으로 옮겨진 고객들의 소비패턴을 공략하지 못하면 버티기 힘들다는 절박함에 너도나도 O2O 서비스라는 새로운 영역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카드업계가 차별화 포인트를 마련하지 못한 채 떠밀리듯 O2O제휴처 확대에만 몰두하고 있어 고객을 끌어들일 추가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는 올해 상반기부터 O2O업체들과 모바일 플랫폼 동맹(MPA)을 맺고 앱카드인 '판(FAN)'을 통해 O2O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카드, KB국민카드도 O2O플랫폼 '생활앱'과 '플러스 O2O'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BC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 등도 O2O업체들과 제휴를 맺고 있다.


카드사들의 공통된 O2O플랫폼 전략은 제휴사 확대다. 제휴처가 많을수록 고객이 한 플랫폼 내에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공략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제휴처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하지 못한 채 일단 제휴처 늘리기에만 급급해 문제다. 시작단계인 만큼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신사업 구상을 해나간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지만 공동 마케팅 외에는 별다른 모델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다들 O2O사업을 시작하니까 어쩔 수 없이 하는 부분이 있다"며 "시장점유율을 뺏기지 말자는 차원에서 일단 제휴처부터 확보해 두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도 아직 갈길이 멀다. 카드사들이 모바일 플랫폼에 O2O업체들을 결제할 수 있도록 모아놨으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결국 O2O업체의 앱을 다시 다운받아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고객들은 카드사 앱을 통하기 보다는 해당 O2O업체의 앱을 다운받아 직접 결제하는 것이 더 편리한 상황이다.


O2O 플랫폼 사업은 카드사 뿐만 아니라 IT업계도 눈독을 들이는 분야다. O2O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카카오는 카카오택시(콜택시), 카카오헤어샵(미용실) 등 직접 O2O 영역에 진출하고 있다. 네이버는 O2O 플랫폼 '윈도' 시리즈를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에 카드사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모바일 플랫폼으로 O2O서비스의 결제 편의성을 확대하려는 방식에 고객을 유인할 수 있는 추후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카드사가 그동안 제공해온 할인 등의 결제상 이익이나 포인트 혜택을 제공해 고객을 빠르게 늘리는 방안도 제시된다. 또 세탁이나 배달과 같은 현금으로 주로 결제하는 서비스를 카드로 끌어올 수 있도록 탐색해보는 것도 방법으로 꼽힌다.


김상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아직은 O2O플랫폼을 구축해도 직접 결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며 "초기단계인 만큼 여러가지 시도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