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벼랑끝에 선 패션業]의류 OEM업체 마진의 핵심은 인건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5초

[벼랑끝에 선 패션業]의류 OEM업체 마진의 핵심은 인건비 .
AD


의류 생산기지의 이동…한국 → 중국 → 동남아시아 → NEXT?
가속화되는 봉제공장의 탈중국화
새로운 생산기지가 된 동남아시아 국가들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의류 주문자생산방식(OEM)기업의 경우 매출원가의 60%는 원재료비, 20%는 인건비로 구성돼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원재료비의 경우 바이어가 지정해주는 원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통제가 가능한 부분은 인건비다. OEM업체들은 '봉제 유목민'이라 불릴 정도로 저렴한 인건비, 풍부한 노동력이 있는 새로운 생산기지를 찾아 언제든지 떠날 준비가 돼있다.

3일 HMC투자증권 및 업계에 따르면 한세실업은 1988년 사이판 지역에 제 1법인을 설립한 이후, 2004년 중국에 2007년에는 캄보디아에 현지법인을 설립했으나 인건비와 인프라 등의 문제로 철수했다. 현재는 베트남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니카과라 등에서 생산 중이다.


영원무역은 1980년 방글라데시에 최초로 의류 공장을 가동했다. 이후 1995년에는 중국 청도에, 중남미 엘살바도르, 베트남 남딘 지역에 추가로 공장을 설립했다. 현재 방글라데시 공장을 중심으로 생산 중이며, 중국 공장의 경우 인건비 상승 등의 어려움으로 서서히 규모를 축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의류 생산기지도 시기별로 뚜렷하게 이동하고 있다. 1960~1990년대에는 한국, 대만, 홍콩이었다면 1991~2006년은 중국, 2007~현재는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으로 요약된다.

[벼랑끝에 선 패션業]의류 OEM업체 마진의 핵심은 인건비 .


HMC투자증권에 따르면 1970년부터 1980년 의류 수출액의 30% 가량을 생산한 한국, 대만, 홍콩은 의류 생산의 기지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1970년대의 10년 동안 부가가치 생산액이 6.5배, 수출액은 13배 증가했다. 80년대 후반까지 수출주도 산업으로서 한국 경제성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급속한 임금 상승과 인력난이 심화되면서 와이셔츠 등 저가 대량생산 품목은 인건비가 싼 지역으로 대거 이동했고 국내에서는 중고가 상품만을 생산하게 됐다. 1990년대에는 노동생산성을 상회하는 급격한 임금상승과 노동력 부족으로 후발 주자들에게 자리를 내줬다.


1991~2006년까지 15년간 생산기지 역할을 했던 중국은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노동집약적 산업이 빠르게 성장했다. 의류 최대 수입국인 미국내에서 수출비중은 10%에서 30%까지 증가했다. 의류뿐만 아니라 노동력을 이용한 대부분의 제품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를 쉽게 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국 역시 인건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고, 외국기업에 대한 임금 인상 압박으로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의 산업고도화 정책으로 인해 의류봉제공장의 탈중국화는 가속화 되고 있다.


최근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으로의 생산기지 이동은 저렴한 노동력뿐만 아니라 경제연대협정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노동집약적 산업 특히 의류의 경우 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 방글라데시 와 같은 동남아시아 지역 역시 인건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파업이 빈번하게 일어나 경영환경이 불안정하다. 글로벌 바이어들은 또 다시 더 저렴한 생산지를 찾아 나서고 있으며 아이티, 미얀마, 아프리카도 새로운 생산기지로 떠오르고 있다.


[벼랑끝에 선 패션業]의류 OEM업체 마진의 핵심은 인건비 .


송하연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의류는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초기 국가의 산업 기반을 다지는 역할을 해왔다"며 "과거 생산지기의 이동을 통해 인건비의 상승과 산업의 고도화가 빠르게 이뤄졌고 그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한국, 홍콩, 대만의 경우 30년에 걸쳐 글로벌 의류시장에서 제조를 담당했으나 중국은 15년, 동남아시아는 그보다 빨리 더 저렴한 다른 생산지로 대체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봉제공장은 베트남을 떠나 아프리카가 아닌 본국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의류시장의 경우 소비자들의 니즈가 다양해지면서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변화하는 추세다.


송 연구원은 "소비자들의 취향은 세분화됐을 뿐만 아니라 빠르게 새로운 것들은 원하고 있다"며 "빠른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품개발, 생산, 운송 이 모든 것들이 빨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