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터 삶터]누군가의 고향

시계아이콘01분 39초 소요

[일터 삶터]누군가의 고향 이윤주, 에세이스트
AD

여기서 태어났지만 이 도시를 고향이라 생각해 본 적은 없었다. '고향'에 대한 감각은 태어난 곳에서 멀리 떨어져 살아가는 이들만의 특별한 정서라고 생각했다. 명절에 버스나 기차를 타고 갈 곳이 있는 친구들이 속없이 부럽기도 했다. 고향에 간다는 것은, 돌아갈 곳이 있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그래서 다시 돌아올 수도 있다는 것은.


대도시, 특히 서울살이란 어쩐지 '정상적'이지 않다고 자조했다. 지하철 문짝에 뺨을 부비며 출근하는, 아침에 주문한 택배가 해 떨어지기 전에 도착하는, 하루에 열두 시간쯤 일하고도 밤이 어둡지 않은 곳에 익숙하다는 건, 마치 '난 이제 미세먼지에 완전히 익숙해'라고 말하는 것처럼 어딘가 고장 난 채로 꾸역꾸역 일상을 굴리는 느낌이랄까. 인구밀도가 희박한 나라로 이민을 간 친구는 '그렇게 좁은 공간에 그렇게 많은 개체를 집어넣으면 어떤 동물이라도 미쳐버리는 게 자연스러운 일'이라고도 했다.

그의 말대로 이 도시에서 나는 자주 미쳤고, 울었고, 언젠가 떠날 수 있기를 소망하면서 학교와 직장을 다니고 그러나 떠나지 못하며 신접살림도 꾸렸다. 서울이 참 싫다고 불평하는 동시에 이미 서울에 꼭 어울리는 인간임을 실감하며. 모처럼 여행을 떠나 바닷가에 바투 자리한 호텔에 '프리미엄'을 주고 묵었으나 우습게도 '바다 때문에' 잠 못 이루는 인간. 창 너머로 선명한 파도 소리가 슬슬 무서워지더니, 무슨 일이 있어도 저 움직임을 멈추게 할 수 없다는 사실에 난데없이 식은땀이 나는, 검고 거대하게 반복되는 자연의 기척에 짓눌려 밤새 뒤척이는 인간.


남쪽 바다 가까이서 태어난 남편 덕에 몇 년 전부터 주기적으로 고속도로를 탄다. 그의 고향은 갯바람에 출렁이는 갈대밭이 지평선을 이루는 곳이다. 차들은 경적을 울리지 않는다. 밤이 되면 거리의 불빛이 사그라지고 검은 하늘에 별들이 솟아난다. 5일마다 장이 열리며, 명물인 떡을 사기 위해 아침부터 사람들이 줄을 서고 정오가 되기도 전에 떡집은 장사를 마친다. 그곳에 가면 인간에게 '적정한' 일상의 리듬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도, 그 고혹적인 리듬에도 난 어쩐지 머뭇거리기만 한다. 서울에 가고 싶다. 아니, 서울이 보고 싶다.

고속버스에서 한참을 졸다 서울에 가까워짐을 알리는 이정표가 보일 때 비로소 안도감이 찾아든다. 터미널에서 내려 지하철로 연결되는 통로의 인파에 섞여들 때 나는 탄식한다. 아, 반갑고 지겨운 나의 서울! 거미줄같이 엮인 지하철 안에서 내다보이는 한강변의 노란 불빛들. 그것들은 왠지, 손을 뻗으면 모든 물건이 제자리에 있는 곳에 곧 몸을 누일 수 있다고, 나를 안심시키는 듯하다.


고향이 아니면 무얼까, 이렇듯 속절없이 나를 홀리는 곳이. 없는 게 없는 편의점은 한밤중에 불쑥 들어가도 놀라지 않고, 살짝 탄 맛의 아이스커피를 홀짝이며 몇 시간이고 책을 읽어도 되는 카페들이 줄지은 이곳. 징글맞게 싸워도 밥은 먹었는지 궁금한 오랜 애인처럼, 다시는 안 보겠다 성깔 부려도 며칠 뜸하면 어디 아픈가 걱정되는 친구처럼, 곁에 둬야 맘이 놓이는 이곳.


누구에게나 어쩔 수 없는 것이 있다. 꽃이 피든 안 피든 불이 밝든 어둡든, 고향이란 지겨워도 고향인 것이다. 그것은 어쩌면, 좋거나 나쁘거나 끈덕지게 매달리는 삶 그 자체를 닮았다. 나 같은 서울토박이도 이럴진대, 하물며 소를 키우고 참외가 익는 마을에서야. 최후의 익숙함이 흔들리는 것은 생의 뿌리가 휘청이는 공포일 거라 짐작하니, 나의 서울도 함께 슬프다.


이윤주(에세이스트)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