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을 읽다]인류의 태양계 탐험…어디까지 왔나

시계아이콘03분 38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명왕성 민낯 보고, 목성 비밀 캐다

[과학을 읽다]인류의 태양계 탐험…어디까지 왔나 ▲지난 10일 주노캠이 촬영한 목성과 위성.[사진제공=NASA]
AD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7월은 우주 탐사의 계절입니다. 주목할 만한 탐사선이 모두 7월에 목표지점에 도착했습니다.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Cassini) 호는 2004년 7월1일 토성궤도에 진입했습니다. 동토의 땅, 명왕성에 뉴호라이즌스(Newhorizons) 호가 가장 가깝게 접근한 시간은 2015년 7월14일이었습니다. 이어 올해 주노(Juno) 탐사선이 목성궤도에 지난 4일(현지 시간) 안전하게 진입했습니다. 목성과 토성, 명왕성에 보낸 탐사선이 모두 7월에 '큰 일'을 해냈습니다. '7월의 카운트다운'이라고 표현해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왜 7월에 탐사선의 도착을 집중시킬까요? 이는 미국 독립기념일(Independence Day)인 7월4일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인류의 이정표를 세우는 일이기 때문에 가능한 7월4일에 맞추는 상징성을 띄고 있는 것이죠. 2006년 미국의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도 7월4일에 발사됐습니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는 "미국의 경우 우주개발 등 기념할 만한 이벤트는 언제나 독립기념일과 관련이 있다"며 "우리나라도 앞으로 우주개발과 관련해 발사체를 쏘아 올릴 텐데 상징적 날짜를 정해 그 의미를 주는 것도 생각해 볼만하다"고 말했습니다.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를 연구했습니다. 처음엔 맨눈으로, 그 다음엔 망원경으로, 지금은 탐사선을 해당 연구 지점에 보내 직접 탐험하는 곳까지 이르렀습니다. 나사 측은 "태양계를 탐험하기 위해 우리는 전 속력으로 항해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2016년 8월의 클로즈업, 목성을 만나다'=주노 탐사선이 4일 목성궤도에 안전하게 진입하면서 인류는 목성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파악하게 됩니다.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입니다. 행성이 아니었다면 항성으로 대접할 만큼 덩치가 큽니다. 목성의 비밀을 파헤치면 태양계 생성의 첫 걸음이 어떻게 시작됐는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노 탐사선은 5일 목성궤도에 진입하면서 첫 번째 사진도 보내왔습니다.


지난 10일 주노 탐사선이 목성으로부터 약 430만㎞ 떨어진 지점에서 찍었습니다. 목성과 함께 위성들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등도 함께 촬영됐습니다. 주노는 오는 8월27일 목성에 첫 번째로 근접 비행합니다. 약 5000㎞ 까지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때 촬영한 사진과 수집되는 데이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목성의 구름을 뚫고 그 아래에 무엇이 있는지를 파악합니다. 남편(목성, Jupiter)의 비밀을 아내(주노)가 알아낼 수 있을지 관심의 대상입니다.


나사 측은 "우리는 태양계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탐험을 계속할 것"이라며 "태양계 탐험의 목적은 우리가 어떻게 탄생했고 어디로 가고 있는지 우주에는 정말 우리밖에 없는지를 알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짐 그린 나사 행성과학부장은 "주노 탐사선은 우리 태양계를 연구하는데 있어 매우 특별하고 가장 최근의 사례"라며 "아직 우리는 탐험하지 못한 미지의 세계가 너무 많다"고 말했습니다.

[과학을 읽다]인류의 태양계 탐험…어디까지 왔나 ▲토성 탐사선 카시니 호.[사진제공=NASA]


◆'2017년 클로즈업, 카시니호의 그랜드피날레'=카시니 호는 2004년부터 지금까지 토성 궤도를 돌면서 연구 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미 생명이 다해야 하는데 꿋꿋이 버텨내고 있습니다. 내년에 '그랜드 피날레'에 돌입합니다. 이 기간 동안 카시니 호는 토성 외부 대기권과 고리 사이의 좁은 간극을 22번 정도 뛰어들 예정입니다.


이 같은 매우 흥미로운 공전세트를 통틀어 '그랜드 피날레'라 부릅니다. 이때 카니시 호는 새로운 시각과 깊이 있는 과학적 데이터를 지구로 보내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토성에 근접하면서 촬영한 데이터를 보내온 뒤 카시니 호는 내년 9월 토성에 추락해 생을 마감할 예정에 있습니다. 카시니 호는 그동안 토성의 주요 위성 중 하나인 타이탄, 엔켈라두스의 모습을 찍어 지구로 전송해 왔습니다.

[과학을 읽다]인류의 태양계 탐험…어디까지 왔나 ▲2018년 발사예정인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허블망원경의 역할을 대신한다.[사진제공=NASA]


◆'2018년의 클로즈업, 새로운 우주의 눈'=궤도 탐사선이 해당 행성의 '미시적 데이터'를 수집한다면 2018년 발사 예정인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거시적 데이터'에 주목합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의 뒤를 잇는 차세대망원경입니다. 허블보다 7배 넓은 반사경을 자랑합니다. 더 넓은 우주 관찰이 가능한 것이죠.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거대 우주연구에 주목합니다. 물론 태양계 행성에 대한 연구 작업도 함께 수행합니다.


카시니, 주노, 뉴호라이즌스 호 등이 미시적으로 행성에 대한 데이터를 모읍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거시적으로 자료를 수집해 이를 통합하면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 생성이 가능한 것이죠. 주노가 목성과 위성들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등을 연구할 때 제임스웹우주망원경도 공동보조를 맞출 수 있습니다. 나사 측은 "유로파에는 물이 존재할 것으로 믿고 있다"며 "주노와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협동 작전으로 이에 대한 보다 객관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과학을 읽다]인류의 태양계 탐험…어디까지 왔나 ▲파란 빛이 명왕성 대기권을 감싸고 있다.[사진제공=NASA]


◆'2019 클로즈업, 뉴호라이즌스 호의 도전'=뉴호라이즌스 호를 통해 우리는 명왕성의 실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지난해 7월14일 뉴호라이즌스 호는 명왕성에 매우 가깝게 접근했습니다. 얼음산과 얼음 평원이 확인됐고 자신의 덩치와 비슷한 위성인 카론의 모습을 찍었습니다. 뉴호라이즌스 호는 명왕성 궤도에 안착하지 않고 카이퍼 벨트를 향해 또 다시 긴 여행을 떠났습니다. 다음 목표는 2019년 1월에 카이퍼 벨트에 있는 소행성 '2014 MU69'입니다. 카이퍼 벨트는 얼음으로 뒤덮여 있는 곳입니다. 태양계의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죠. 태양계 생성 초기 물질로 구성돼 있을 것으로 예상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태양계 탐험은 여기에 머물지 않습니다. 최근 돈(Dawn) 탐사선은 왜소행성 세레스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세레스의 밝은 지점에 대한 연구 결과입니다. 이곳에 10억년은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얼음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2020년에는 화성에 차세대 착륙 탐사선이 발사될 예정에 있습니다. 2030년 인류가 화성에 도착하기 이전에 세밀한 사전 작업을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지구와 이웃 행성인 화성에는 나사의 탐사선이 가장 많은 있는 곳입니다. 궤도탐사선으로 화성정찰위성, 오디세이, 메이븐 등이 있고 착륙 탐사선으로 큐리오시티, 오퍼튜니티 등이 존재합니다.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지,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지 태양계 탐험을 통해 답을 찾아가는 인류의 노력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10_LINE#>

[과학을 읽다]인류의 태양계 탐험…어디까지 왔나 ▲한국형발사체 상상도.[사진제공=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연기된다


"기술적 문제인 만큼 보다 세밀한 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한국형발사체 사업에 차질이 빚어졌다. 2017년 한국형발사체 시험발사를 눈앞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발사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조광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현재 엔진연소 불안정과 추진체 탱크(연료탱크) 오류 등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다"며 "이 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 현재의 상황을 보고했다"고 말했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이 위원장으로 있는 우주위원회에서 이 같은 보고를 중심으로 발사 연기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엔지니어들이 직접 나서서 기술적 문제가 있다고 밝힌 만큼 연기가 불가피해 보인다.


기존에 예정된 일정을 보면 2017년 한국형발사체 시험발사를 하고 2019년 예비발사, 2020년 본 발사의 수순이었다. 이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면 2020년 달 탐사에 나선다는 계획이었다. 한국형 발사체는 우리나라가 로켓 발사에서 독립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나로호 발사 당시 러시아와 협력하면서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이 많았다. 러시아 기술팀의 비협조와 설득 작업에 시간을 빼앗기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형 발사체 개발은 그동안 엔진 연소 시험, 추진체 탱크 제작 등 민관 합동으로 진행돼 왔다. 나로호를 통해 러시아의 우주기술을 습득하고 달 탐사와 관련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양해각서까지 체결했는데 기술 진보는 더딘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형발사체 사업에만 들어간 예산은 2조 원이 넘는다. 이 모두 국민이 십시일반 낸 소중한 세금이다. 발사가 연기되면 관련 예산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게 일반적 시각이다. 물론 계획된 날짜가 있다고 해서 완전하지도 않은 발사체를 무리하게 쏘아 올리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조 원장은 "평가단과 항우원이 여러 가지 상황을 분석했을 때 기술적 문제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이라며 "엔지니어들에게는 완전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아직 걸음마 수준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0_LINE#>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5.1107:00
    145% 美 관세에 中 '원산지 세탁업' 호황…동남아산으로 둔갑
    145% 美 관세에 中 '원산지 세탁업' 호황…동남아산으로 둔갑

    중국에서 최근 원산지를 세탁해 주는 불법 중개업체들이 역대급 호황을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가 중국 제품에 부과한 관세가 총합 145%로 치솟으면서 중국 수출업체들이 이를 회피할 방법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 SNS에서는 현재 제3국 경유 원산지 세탁 방식을 홍보하는 물류 중개업체들의 게시글과 영상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 광고는 말레이시아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원산지를

  • 25.05.1008:30
    트럼프 '캐나다 합병' 농담인줄 알았는데…'이 여성' 폭탄선언에 긴장감 고조
    트럼프 '캐나다 합병' 농담인줄 알았는데…'이 여성' 폭탄선언에 긴장감 고조

    캐나다 서부 앨버타주가 캐나다 연방에서의 분리독립 가능성을 공식 언급하면서 북미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캐나다 합병 발언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앨버타주의 이번 발표는 단순한 위협이 아닌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로 부상하고 있다. 데니얼 스미스 앨버타 주총리는 지난 6일(현지시간) 캐나다 연방정부를 향해 강경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는 "중앙정부가

  • 25.05.0307:30
    사상 첫 아시아 교황 기대감…세계 이목 집중된 '콘클라베'
    사상 첫 아시아 교황 기대감…세계 이목 집중된 '콘클라베'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으로 새 교황의 선출과정인 콘클라베가 7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이번 콘클라베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아시아 출신 교황의 탄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콘클라베(Conclave)는 교황 선출 선거권을 가진 80세 미만 추기경 135명이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 모여 차기 교황을 선출하는 비밀 선거를 의미한다. 콘클라베라는 용어 자체가 '밖에서 문을 잠근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 25.04.2908:10
    총통 취임 1년도 채 안됐는데…탄핵 바람 부는 대만
    총통 취임 1년도 채 안됐는데…탄핵 바람 부는 대만

    대만 야권에서 라이칭더 총통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면서 반정부 시위가 확산되고 있다. 대만의 정치 불안이 심화되는 가운데, 대만 제1야당인 국민당은 라이칭더 총통이 취임한 지 1년이 되는 오는 5월20일부터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대만 총통 파면법에 따르면 탄핵은 최소 임기 1년이 지난 총통에게만 할 수 있어, 2023년 5월20일 취임한 라이 총통에 대한 탄핵은 다음 달 20일부터 가능하다. 현재 야당 주도로

  • 25.04.2207:20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편집자주대선이 본격화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한창 경선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월 3일 후보를 결정하고, 민주당은 이르면 이달 27일 후보를 결정한다. 대선주자들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보기 위해 ①대선주자와 종교 ②대선주자와 병역에 이어 ③대선주자와 재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가 대선주자들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대선 후보들의 재산은 대부분 아파트와 예금으로 구성돼 있었다

  • 25.05.0807:00
    물막이설비, 침수 막는 안전장치인데…"집주인은 나몰라라"③
    물막이설비, 침수 막는 안전장치인데…"집주인은 나몰라라"③

    "집주인한테 물막이판(설비)을 해달라고 했지만 지금도 없습니다. 걱정이 많죠."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의 한 반지하 주택에서 살고 있다는 장모씨(45)는 지난달 15일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장씨의 집과 도로는 낮은 턱을 사이에 두고 경계가 갈라져 있다. 집의 현관문은 도로보다 한참 낮다. 물벼락 같은 국지성 호우에 금방 턱 위로 물이 차오를 텐데 올해는 어떻게 여름을 나야 할지 "막막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장씨

  • 25.05.0807:00
    ④직접 찾아 안내해도 역부족…"침수 우려 높은 곳부터 소멸해야"
    ④직접 찾아 안내해도 역부족…"침수 우려 높은 곳부터 소멸해야"

    물막이 설비에 가장 큰 걸림돌인 집주인과 세입자의 인식 전환을 위해 서울시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설득 작업을 하고 있다. 집주인의 재산권을 침해할 수 없으며, 반지하가 아니면 살 곳이 없는 서민들을 내쫓을 수도 없어 일일이 찾아다니고 있는 것이다. 이 밖에 세입자에게 바우처를 주거나 임대주택을 제공하거나 반지하를 매입하는 사업을 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 전문가들은 반지하 침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자체가

  • 25.05.0715:04
    습기에 눌리고 가난에 잠기는 '반지하 사람들'
    습기에 눌리고 가난에 잠기는 '반지하 사람들'

    "올해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지 않기를 기도할 뿐이에요." 지난달 17일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서 만난 82세 박꽃님 할머니(가명)의 소원이었다. 2022년 8월 집중 호우가 쏟아진 후였다. 박 할머니처럼 반지하 방에 살던 한 이웃이 침수 피해로 세상을 떠나자 "이런 죽음은 피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후 2년이 지났지만 그의 반지하 방 창에는 물막이가 없다. 그를 찾아와 안부를 묻는 구청 직원도 없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 25.05.0707:00
    서울에만 20만가구…일주일 벌이 2만~3만원 어쩔 수 없는 선택①
    서울에만 20만가구…일주일 벌이 2만~3만원 어쩔 수 없는 선택①

    "올해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지 않기를 기도할 뿐이에요." 지난달 17일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서 만난 82세 박꽃님 할머니(가명)의 소원이었다. 2022년 8월 집중 호우가 쏟아진 후였다. 박 할머니처럼 반지하 방에 살던 한 이웃이 침수 피해로 세상을 떠나자 "이런 죽음은 피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후 2년이 지났지만 그의 반지하 방 창에는 물막이가 없다. 그를 찾아와 안부를 묻는 구청 직원도 없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 25.05.0707:00
    ②"물막이설비도 없지만 저렴한 월세에…"
    ②"물막이설비도 없지만 저렴한 월세에…"

    "월세가 30만원이에요." 아시아경제가 지난달 14~18일 반지하 거주자 10명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만나 물어본 결과, 대부분의 반지하 거주자들은 반지하 거주의 이유로 저렴한 월세를 꼽았다. 하루 1만원 정도(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기준)다. 그러나 하나같이 반지하에서의 삶을 추천하지 않았다. 주변 시선이나 습기, 공해가 문제가 아니었다. 국지성 호우가 생존의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돈만 더 있다면 살기

  • 25.05.1107:00
    145% 美 관세에 中 '원산지 세탁업' 호황…동남아산으로 둔갑
    145% 美 관세에 中 '원산지 세탁업' 호황…동남아산으로 둔갑

    중국에서 최근 원산지를 세탁해 주는 불법 중개업체들이 역대급 호황을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가 중국 제품에 부과한 관세가 총합 145%로 치솟으면서 중국 수출업체들이 이를 회피할 방법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 SNS에서는 현재 제3국 경유 원산지 세탁 방식을 홍보하는 물류 중개업체들의 게시글과 영상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 광고는 말레이시아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원산지를

  • 25.05.1008:30
    트럼프 '캐나다 합병' 농담인줄 알았는데…'이 여성' 폭탄선언에 긴장감 고조
    트럼프 '캐나다 합병' 농담인줄 알았는데…'이 여성' 폭탄선언에 긴장감 고조

    캐나다 서부 앨버타주가 캐나다 연방에서의 분리독립 가능성을 공식 언급하면서 북미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캐나다 합병 발언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앨버타주의 이번 발표는 단순한 위협이 아닌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로 부상하고 있다. 데니얼 스미스 앨버타 주총리는 지난 6일(현지시간) 캐나다 연방정부를 향해 강경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는 "중앙정부가

  • 25.05.0307:30
    사상 첫 아시아 교황 기대감…세계 이목 집중된 '콘클라베'
    사상 첫 아시아 교황 기대감…세계 이목 집중된 '콘클라베'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으로 새 교황의 선출과정인 콘클라베가 7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이번 콘클라베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아시아 출신 교황의 탄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콘클라베(Conclave)는 교황 선출 선거권을 가진 80세 미만 추기경 135명이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 모여 차기 교황을 선출하는 비밀 선거를 의미한다. 콘클라베라는 용어 자체가 '밖에서 문을 잠근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 25.04.2908:10
    총통 취임 1년도 채 안됐는데…탄핵 바람 부는 대만
    총통 취임 1년도 채 안됐는데…탄핵 바람 부는 대만

    대만 야권에서 라이칭더 총통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면서 반정부 시위가 확산되고 있다. 대만의 정치 불안이 심화되는 가운데, 대만 제1야당인 국민당은 라이칭더 총통이 취임한 지 1년이 되는 오는 5월20일부터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대만 총통 파면법에 따르면 탄핵은 최소 임기 1년이 지난 총통에게만 할 수 있어, 2023년 5월20일 취임한 라이 총통에 대한 탄핵은 다음 달 20일부터 가능하다. 현재 야당 주도로

  • 25.04.2207:20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편집자주대선이 본격화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한창 경선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월 3일 후보를 결정하고, 민주당은 이르면 이달 27일 후보를 결정한다. 대선주자들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보기 위해 ①대선주자와 종교 ②대선주자와 병역에 이어 ③대선주자와 재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가 대선주자들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대선 후보들의 재산은 대부분 아파트와 예금으로 구성돼 있었다

  • 25.05.0807:00
    물막이설비, 침수 막는 안전장치인데…"집주인은 나몰라라"③
    물막이설비, 침수 막는 안전장치인데…"집주인은 나몰라라"③

    "집주인한테 물막이판(설비)을 해달라고 했지만 지금도 없습니다. 걱정이 많죠."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의 한 반지하 주택에서 살고 있다는 장모씨(45)는 지난달 15일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장씨의 집과 도로는 낮은 턱을 사이에 두고 경계가 갈라져 있다. 집의 현관문은 도로보다 한참 낮다. 물벼락 같은 국지성 호우에 금방 턱 위로 물이 차오를 텐데 올해는 어떻게 여름을 나야 할지 "막막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장씨

  • 25.05.0807:00
    ④직접 찾아 안내해도 역부족…"침수 우려 높은 곳부터 소멸해야"
    ④직접 찾아 안내해도 역부족…"침수 우려 높은 곳부터 소멸해야"

    물막이 설비에 가장 큰 걸림돌인 집주인과 세입자의 인식 전환을 위해 서울시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설득 작업을 하고 있다. 집주인의 재산권을 침해할 수 없으며, 반지하가 아니면 살 곳이 없는 서민들을 내쫓을 수도 없어 일일이 찾아다니고 있는 것이다. 이 밖에 세입자에게 바우처를 주거나 임대주택을 제공하거나 반지하를 매입하는 사업을 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 전문가들은 반지하 침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자체가

  • 25.05.0715:04
    습기에 눌리고 가난에 잠기는 '반지하 사람들'
    습기에 눌리고 가난에 잠기는 '반지하 사람들'

    "올해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지 않기를 기도할 뿐이에요." 지난달 17일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서 만난 82세 박꽃님 할머니(가명)의 소원이었다. 2022년 8월 집중 호우가 쏟아진 후였다. 박 할머니처럼 반지하 방에 살던 한 이웃이 침수 피해로 세상을 떠나자 "이런 죽음은 피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후 2년이 지났지만 그의 반지하 방 창에는 물막이가 없다. 그를 찾아와 안부를 묻는 구청 직원도 없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 25.05.0707:00
    서울에만 20만가구…일주일 벌이 2만~3만원 어쩔 수 없는 선택①
    서울에만 20만가구…일주일 벌이 2만~3만원 어쩔 수 없는 선택①

    "올해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지 않기를 기도할 뿐이에요." 지난달 17일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서 만난 82세 박꽃님 할머니(가명)의 소원이었다. 2022년 8월 집중 호우가 쏟아진 후였다. 박 할머니처럼 반지하 방에 살던 한 이웃이 침수 피해로 세상을 떠나자 "이런 죽음은 피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후 2년이 지났지만 그의 반지하 방 창에는 물막이가 없다. 그를 찾아와 안부를 묻는 구청 직원도 없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 25.05.0707:00
    ②"물막이설비도 없지만 저렴한 월세에…"
    ②"물막이설비도 없지만 저렴한 월세에…"

    "월세가 30만원이에요." 아시아경제가 지난달 14~18일 반지하 거주자 10명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만나 물어본 결과, 대부분의 반지하 거주자들은 반지하 거주의 이유로 저렴한 월세를 꼽았다. 하루 1만원 정도(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기준)다. 그러나 하나같이 반지하에서의 삶을 추천하지 않았다. 주변 시선이나 습기, 공해가 문제가 아니었다. 국지성 호우가 생존의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돈만 더 있다면 살기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