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어린이날 이브'에 이 여신이 태어난 까닭은

시계아이콘01분 5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그때 그사람 - '로마의 휴일' 오드리 헵번, 영원한 패션 아이콘서 세상 굶주린 아이들의 엄마로

[아시아경제 이상국 기자]오늘은 인류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최고의 여신'이 태어난 날이다. 오드리 헵번 얘기다.


1929년 5월4일 그녀는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영국인이었고 어머니는 폴란드인이었다. 4살 때 영국으로 건너갔고, 6살 때 런던 인근의 기숙사가 있는 학교에 다녔으니 영국인이라 할 수도 있고, 2차대전 이후엔 부모가 이혼하여 어머니의 고향인 폴란드에 살았으니 폴란드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후 그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모델생활을 한다. 그녀를 행운의 방석에 올려놓은 연극 '지지'는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되었고, 이 무대를 지켜본 윌리엄 와일러 감독이 '로마의 휴일'에 그를 캐스팅하여 대성공을 거뒀으니 미국의 스타이다. '로마의 휴일'은 그녀의 세계적인 '배경'을 활용하여 암스테르담을 비롯한 유럽의 곳곳을 그녀의 뒤에 비쳐준다. 영화와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헵번은 네덜란드어로 몇 마디를 말하면서 자신이 유럽인임을 과시한다. 이 영화로 그녀는 1953년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벨기에, 영국, 폴란드, 네덜란드와 미국의 언론들은 이 여인이 각기 자기나라의 스타임을 강조하려고 애썼다. 5개국어(영어, 불어, 벨기에어, 폴란드어, 네덜란드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던, 그녀는 그러나 그 이상이었다.

1981년 두번째 이혼을 한 뒤에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 홍보대사가 되어 아프리카와 남미, 동남아를 돌아다니며 굶주린 아이들을 보살피는 일에 혼신의 힘을 기울였고, 1992년 소말리아에서 대장암에 걸린 것을 발견하고 이듬해 돌아갔으니, 유엔인 혹은 세계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는 국제적 외교사절이란 직업을 인류에게 강렬하게 심어주고 갔다. 유엔은 2004년 '오드리 헵번 평화상'을 만든다. 그 상을 받으면 '유엔의 친구'라는 칭호가 부여되는데, 첫 해에는 여배우 드류 배리모아가 수상했다.


그녀의 별칭은 '세기의 연인'이다. 그 외에도 물론 많다. 타락할 수 없는 마음을 지닌 연약한 성인, 다치기 쉬워 보이나 섬세한 우아함을 지닌 여인, 멍해질 만큼 아름다움을 지닌 여인, 가만히 있어도 웃음이 나는 여인, 패션 아이콘, 영원한 박애주의자, 청춘과 청순 그 자체.

오드리 헵번은 폴란드에서 나치 치하의 고통스런 생활을 경험했다. 1959년 '안네의 일기' 캐스팅을 거절한 것은 그 트라우마가 너무 컸기 때문이었다. 전쟁 동안 그녀는 튤립의 뿌리를 먹으며 연명했다고 털어놓았다. 이 때문에 나중에 거식증을 겪기도 한다. 튤립은 그녀와 인연이 많다. 헵번이 여생을 보낸 도시 스위스 모르쥬(Morges)는 튤립공원(랭데팡덩스공원)으로 유명한 도시이다. 십만 송이가 넘는 그 알록달록한 꽃들을 보며 그녀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1990년엔 튤립의 한 품종이 '오드리 헵번'이란 이름을 갖게 되기도 했다.


헵번의 영화 경력은 뜻밖에 그리 길지 않았다. 1953년에서 1967년까지 15가지 배역을 맡았을 뿐이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그녀의 역할을 대부분 '교육'과 관련되어 있었다. 맘보 바지를 세계에 유행시킨 '사브리나(1954)'를 비롯해 '파계(1959)', '아이의 시간(1961)', 경매에서 41만 파운드에 팔린 헵번 드레스를 만들어낸 '티파니에서 아침을(1961), '마이 페어레이디(1964)'에서 헵번은 예의범절을 지니고 누군가를 인내심있게 가르치는 교육자의 역할을 맡고 있다. 이런 일관된 이미지는 그녀를 '교사들이 가장 존경하는 여배우'로 만들기도 했다.


단아하고 우아한 헵번의 캐릭터를 완성시킨 것은 마지막 출연 영화인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혼은 그대 곁에(1989)'였다. 이 영화에서 그녀는 신의 역할을 맡는다. 세계의 어둡고 쓸쓸한 곳을 찾아 아이들을 돌보며 "이보다 아름다운 일은 없다"고 외친 그녀는 어느새 인류 전체를 향한 교육자 역할을 자임하였는지 모른다.


'어린이날 이브'에 이 여신이 태어난 까닭은 2015년 구글 로고에 올라온 오드리 헵번.
AD



구글이 지난해 오늘 올린 저 사진은 터키 작가인 유섭 카쉬(Yousuf Karsh, 1908-2002)가 1956년(헵번 나이 27세)에 촬영한 작품이다. 살짝 내려뜬 눈에 강조된 속눈썹과 곡선으로 떨어지다 오뚝하게 돋아오른 콧날, 단아하고 정갈해보이면서 내면을 지닌 입술, 곱게 빗어넘긴 머리와 뒤로 뭉쳐 씩씩함을 강조한 스타일, 목까지 올라오는 긴 깃으로 특유의 고독감과 여린 귀여움을 강조한 패션까지, 인류의 미적 표상을 유감없이 드러내는 인상적인 이미지이다.


정작 헵번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내가 이런 얼굴을 가지고 영화에 출연하게 되리라고는 생각도 못했죠. 나의 외모는 쉽게 따라할 수 있거든요. 머리칼을 뒤로 틀어올리고 큼직한 선글라스로 눈을 가리고 작은 민소매 드레스만 입으면 헵번룩이 될 거예요."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