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체부, 리우올림픽 메달 포상금 역대 최고 69억 지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문체부, 리우올림픽 메달 포상금 역대 최고 69억 지원 리우올림픽
AD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 정부가 2016 리우올림픽·패럴림픽 메달리스트에게 역대 최고인 포상금 약 69억 원을 지원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8월 5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막하는 2016 리우올림픽과 이어진 패럴림픽에 대한 지원 종합계획을 19일 발표했다. 메달포상금은 올림픽에 36억6800만원, 패럴림픽에 31억8700만원을 지원한다. 총 68억5500만원 규모다. 이는 2012년 런던 대회 56억 원보다 약 23억 원이 늘었다. 선수 기준으로 금메달은 6000만원, 은메달 3000만원, 동메달은 1800만원을 받는다. 지도자에게는 금메달 8000만원, 은메달 4000만원, 동메달 2400만원을 준다.


문체부는 "선수단에 동기를 부여하고 노고를 격려하기 위해 메달 포상금을 마련했다"며 "대회 후 성적 향상과 종목 발전 기여도, 메달 획득 규모, 총예산 등을 고려해 별도의 위원회 검토를 거쳐 조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문체부는 선수들의 현지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국외 전지훈련과 국제대회 참가에 필요한 예산 2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한다. 메달이 기대되는 주요 선수와 종목에는 스포츠과학팀을 훈련 현장에 파견, 동작분석, 심리상담, 경기분석 등을 제공해 메달 획득 가능성을 더욱 높일 방침이다. 의사, 한의사, 의과학팀장, 트레이너, 물리치료사 등 총 열한 명으로 구성된 '스포츠의과학 드림팀'을 꾸리고, '부상관리 솔루션 위원회'도 운영한다.


문체부는 리우데자네이루의 열악한 시설과 치안 등으로 현지 종합 훈련시설은 제공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대신 브라질의 다른 지역이나 미주·유럽에서 사전 적응 훈련을 하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 '모기 예방 행동 수칙'을 마련하고,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와 협업해 실시간으로 현지 보건 상태도 관리한다. 선수단 전원에 황열·A형 간염·장티푸스·말라리아 예방 접종을 한다. 현지 파견 전에는 불공정 판정 대응 교육, 지카 바이러스 등 질병 예방 교육, 반도핑 교육, 테러 대비 안전 교육 등을 할 예정이다. 특히 불공정 판정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영어 사용 지침도 제공할 계획이다.


선수촌에서 자동차로 10∼15분 거리에는 코리아 하우스를 설치한다. 한식 요리사 열 명을 파견해 한식을 제공하고, 방문이 어려운 선수들에게는 도시락 배달 서비스를 한다. 수요가 많은 물리치료사는 선수촌과 주요 경기장에 배치해 경기력 향상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