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따라 이모티콘 해석도 달라져
'스마일'이 조롱·비웃음 상징하기도
길고 복잡한 말 대신 짧고 간단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 자주 쓰이는 이모티콘이 세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면서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가령 웃는 표정의 '스마일' 이모티콘은 기성세대에게 그저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됐다면 Z세대(1997~2006년 태어난 세대)에겐 조롱이나 비웃음, 냉소나 아이러니를 상징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뉴욕포스트,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은 디지털 기술과 함께 자란 '디지털 원주민' 세대에게 이모티콘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가족 지원 단체 지원 사이트 '포 워킹 페어런트(For Working Parents)'의 창립자 아밋 칼리는 뉴욕포스트에 "10대들이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기본 이모티콘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뜻이 있다"고 설명했다.
뉴욕포스트는 "노란색의 웃는 얼굴을 한 '스마일' 이모티콘은 30세 이하에게는 완전히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며 "상대를 무시하거나 노골적으로 비꼬는 의미로 사용돼 상대에게 해당 이모티콘을 보낼 경우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고 짚었다.
WSJ도 "30대 사이에서는 기본 이모티콘을 행복하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반면 10대와 20대 초반의 연령대 사이에선 해당 이모티콘이 상대가 자신을 가르치려 드는 듯한 공격적인 의미로 해석한다"고 전했다.
미국 브루클린의 한 미디어 회사에서 일하는 하피자트 비시(21)는 WSJ에 "입사 당시 동료들로부터 웃는 표정의 기본 이모티콘을 받고 당황했다"고 말했다. 비시는 "무시당하는 느낌이었다. 진심 어린 미소가 아니라 곁눈질하는 듯한 의미로 보였다"며 "상대 동료들이 나이가 많다는 걸 감안해야 했다. 나는 이 이모지를 비꼬는 의미로 쓴다"고 강조했다.
웃는 표정의 이모티콘 외에도 세대에 따라 해석을 달리하는 이모티콘은 또 있었다. 데일리메일은 '반짝임'이나 '엄지척' 이모티콘을 기성세대는 감사나 기쁨 등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사용했다면 Z세대는 냉소적인 어조로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와 관련 '디지털 바디랭귀지: 거리와 상관없이 신뢰와 연결을 구축하는 법'의 저자 에리카 다완은 "30세 이상은 기본 이모티콘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지만 Z세대는 해당 이모티콘을 완전히 다른 의미 체계로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