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DI "韓 경제 성장세 점차 둔화…수출 부진 지속"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광공업생산·출하 부진 심화…경기 회복세 제약
소비활성화 대책 효과 빠르게 소멸


KDI "韓 경제 성장세 점차 둔화…수출 부진 지속" 광공업생산지수·서비스업생산지수(자료:KDI)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국책 연구기관에서 우리 경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될 것이라는 경고성 분석을 내놨다.


내수회복세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완만해지고 수출 감소 추세가 확대되면서 부진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내수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던 시각에서 한 달 만에 비관론으로 돌아선 셈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일 'KDI 경제동향 2월호'에서 "최근 일부 지표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점차 둔화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KDI는 "서비스업생산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광공업생산과 출하의 부진이 심화되면서 경기 회복세가 제약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월 중 전산업생산은 광공업생산의 부진으로 전월(2.2%)과 유사한 전년동월대비 2.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3.0% 증가하며 전월(3.2%)에 이어 비교적 양호한 증가세를 지속했지만 광공업생산은 자동차와 정보통신기술(ICT) 등 주요 업종을 중심으로 부진이 심화되면서 1.9% 하락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73.8%를 기록하며 작년 평균(76.1%)을 하회하고 있어 제조업생산이 저조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분석했다.


KDI는 소비와 관련해 "민간소비의 완만한 개선 추세는 유지되고 있지만 올해 들어 소비활성화 대책의 효과가 빠르게 소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5% 증가했지만 향후 정책효과가 사라지면서 소매판매의 회복세가 약화될 것으로 KDI는 예상했다.


내구재는 승용차 판매(34.6%)를 중심으로 13.6% 증가하며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준내구재(-4.4%)와 비내구재(1.5%)는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다.


특히 소비활성화 대책의 효과가 소멸되면서 국산 자동차의 내수판매가 1월 중 전년동월대비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중 소비자심리지수도 전월보다 2p 하락한 100을 기록해 소비심리가 지속적으로 위축되고 있다.


다만 전날 정부가 올 상반기까지 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를 재인하한다고 밝힌 만큼 향후 소비심리 위축세는 변동요인이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는 건설투자가 비교적 양호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설비투자는 감소세를 지속하면서 부진한 상황이다.


그러나 건설투자도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으나 미분양 주택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건설업 전반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KDI는 밝혔다.


아울러 KDI는 "수출은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 성장세가 둔화되고 유가도 예상보다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대부분의 주력 품목에서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부진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신흥국의 경기둔화, 금융시장 불안, 국제유가의 변동성 확대 등 다수의 하방위험도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KDI는 "선진국은 유로존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인 반면 일본은 경기 전반이 미약한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미국도 작년 4/4분기에 성장세가 크게 둔화됐다"며 "신흥시장국은 원자재 수출 국가들을 중심으로 주요 지표들이 모두 예상을 하회하면서 실물경기의 부진이 심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KDI는 국내 경제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올해 우리 경제가 2.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수출은 1% 내외로 감소하는 가운데 경상수지는 금년에도 흑자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소비자물가는 연초 1%대 초반에서 완만하게 상승해 연간으로 1.3%의 비교적 낮은 상승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부 전문가는 경기둔화에 대응한 확장적 거시경제정책의 운용을 강조하는 가운데 기업 구조조정과 가계부채 안정화 대책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