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정화 논란…保 "정상화 환영" VS 革 "유신 회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국정화 논란…保 "정상화 환영" VS 革 "유신 회귀"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정부가 12일 일선 중·고등학교의 역사·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확정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보수성향 시민단체들은 그간 이념적으로 편향돼 있던 역사교육이 '정상화' 될 수 있는 기회라며 환영하는 반면, 진보성향 시민단체들은 국정교과서가 독재정권 미화 등으로 오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이날 보·혁 시민단체들은 각각 기자회견 등을 열고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움직임에 대해 옹호·반발에 나섰다.

먼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 진보성향 시민단체로 구성된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는 이날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화는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국정화가 민주주의·한국 역사학의 죽음이라며 상복을 입고 나선 이준식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은 "국정교과서가 헌법 정신에 위배되며 국제기준과 맞지 않다고 따지자 정부는 색깔론을 꺼내 들었다"며 "기존 검정 교과서가 종북 교과서이면 이를 통과시킨 국사편찬위원회, 교육부는 물론 검정제를 지지하는 모든 역사학자들이 좌편향이라는 것이냐"라고 꼬집었다.


전국의 역사학도들도 비판대열에 동참했다. 전국 역사관련 학부와 사범대 역사교육과 소속 학생들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철회를 요구하는 긴급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유신 정권에 의해 국정교과서가 도입된 이래 한가지 역사해석을 강요하는 폐단이 지속됐다"며 "국정화 논쟁은 좌와 우의 문제가 아니라 상식과 비상식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날 역사학도들의 공동선언엔 전국 40개 역사관련 학부, 23개 역사교육과 학부, 3개 대학원 등 66개 단위의 재학생·졸업생 등 2000여명이 연명했다.


반면 보수성향 시민단체인 종북좌익척결단, 반국가교육척결국민연합, 바른사랑어머니연합 등은 이날 오전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교과서 '옹호론'을 폈다.


이들은 "좌편향적인 역사교과서를 정상화 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환영한다"며 "좌편향적 교육을 바로잡을 수 있는 방법은 국정화 뿐"이라고 강조했다.


보수성향 교육·시민단체로 구성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위한 교육시민단체협의회'도 "역사교육은 역사교사들과 역사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며, 교육목표의 사회적 가치 구현에 충실하고, 교육수요자인 학부모 학생들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며 "교육부의 국정화 결정에 대해 불복, 정치쟁점화 하는 것은 물론, 한국사교과서를 이념투쟁도구로 삼는 좌파진영의 행동에 심각한 우려를 금치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교총)도 전날 보도자료를 내고 "역사학(歷史學)적 관점이 아닌 역사교육(歷史敎育)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과정을 통해 올바른 역사교육 내용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의 특수성과 헌법에 규정한 국가 정체성의 존중을 바탕으로, 한국사 교육 내용의 재정립 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