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준공…"38년만에 결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준공…"38년만에 결실" 경주 중저준위 방사선폐기물 처분장 전경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경주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1986년 부지선정 추진 30년만에 맺은 값진 결실이며 국가적 안전과제 해결에 결단을 내려준 경주 시민들에게 감사드린다"며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 중 3000억원 특별지원금을 비롯한 28개 사업은 완료되었고 현재 진행사업도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황 총리는 또한 "처분시설은 안전을 최우선 고려해 만들어졌다"며 "앞으로도 운영과정에서 안전문제에 한치의 허점도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주 방폐장은 지난 1978년 원자력 도입 38년만에 확보한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 방폐물 처분시설이다.


정부는 1986년부터 방폐장 확보를 추진했으나 국민적 공감대 부족으로 19년간 9차례 실패를 겪었다. 지난 2005년 11월 민주적인 부지선정 공모와 주민투표를 통해 경주시민의 지지 속에 유치가 결정됐고, 약 6년간의 공사를 거쳐 지난해 12월 사용승인을 받았다.


현재 200ℓ 드럼 기준 80만드럼을 처분할 수 있는 지하동굴시설을 완공했으며, 2단계로 12만5000드럼 규모의 표층처분시설을 설계, 2019년 완공할 계획이다.


지하동굴시설은 지하 1.4km 터널 끝에 해수면 기준 130미터 깊이에 높이 50m, 지름 25m의 콘크리트 처분고에 방폐물을 처분해 자연수준의 방사선량이 될 때까지 관리한다.


방폐장 주변 방사선량은 연간 0.01밀리시버트(mSv) 미만으로 관리할 계획인데, 이는 자연방사선량인 연간 2.4밀리시버트의 240분의 1, 가슴 X선 1회 촬영시의 방사선량인 0.1 mSv의 10분의 1 수준이다.


방폐장 가동으로 반입수수료는 80만 드럼 기준 약 5100억원이 발생하며, 이 가운데 75%인 3825억원은 경주시가 25%인 1275억원은 원자력환경공단이 지역지원사업으로 집행한다.


원자력환경공단은 실시간 방사선관리와 방폐장 개방, 학생 안전체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방폐장 전시관 코라디움과 주변 6만7000㎡(약 2만평)면적의 청정누리공원에서 사계절 꽃단지를 조성하고 사이언스 페스티벌도 추진하고 있다.


공단은 또 지자체, 코레일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문무대왕릉, 주상절리 등 풍부한 관광자원과 방폐장 연계한 관광콘텐츠를 개발할 예정이다. 경주지역 출신 신입사원을 20% 채용한다는 목표를 도입, 방폐장 환경정비사업에 연4000명을 직접 고용하고 마을기업과 특산품 브랜드 등 지역경제를 지원하고 있다.


이날 준공식 행사에서 경주 방폐장 건설 등에 공적이 있는 정수헌 대우건설 상무 등 개인과 지역단체, 기업 등에게 총 44점의 포상을 수여했다.


이종인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은 "국책사업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책임감으로 방폐장을 유치하고 건설과정에 관심을 가져주신 경주 시민들에게 감사드린다"며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오차없는 안전한 방폐장 운영 시스템을 확립해 경주시민과 국민의 신뢰에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준공…"38년만에 결실" 경주 중저준위 방사선폐기물 처분시설 지하동굴시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