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제2의 메르스 막는다…'백서(白書)에서 구급차까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과 같은 감염병 부실관리를 막기 위해 백서 제작과 감염병 환자 전용 구급차 구입, 감염병 관련 조례 제정 등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먼저 10억원을 투입해 감염병 환자이송 전용 구급차를 이르면 내년 상반기 도입한다. 또 메르스 발병 이후 지난 한달 간 상황을 일지 형태로 정리한 '백서' 발간도 추진한다.

아울러 '경기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이 최근 통과됨에 따라 도는 매년 감염병 예방에 관한 시행규칙을 수립해 시행하고 감염병관리본부를 꾸리기로 했다.


15일 경기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도는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감염병 환자이송 전용 구급차를 도입하기로 했다. 구급차는 도 산하 경기도재난안전본부 남부청사에 2대, 의정부 북부청사에 1대가 배치된다. 감염병 구급차 도입은 경기도가 처음이다.

이들 구급차에는 바이러스 외부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음압장치가 설치된다. 또 환자실을 밀폐형으로 만들어 운전요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자동온도 조절 및 공기 필터링 등 공기압 컨트롤 시스템도 갖추게 된다.


구급차의 차량높이는 2.6m로 기존의 구급차(그랜드스타렉스 기준)에 비해 0.2m 높고, 차량길이는 5.4m로 0.3m 길다. 차량폭은 1.9m로 같다. 탑승인원은 기존 구급차(5명)보다 1명 많은 6명이다. 1대당 가격은 3억3000만원이다. 종전 구급차(1억1000만원)보다 3배 비싸다.


앞서 도 재난안전본부는 감염병 환자이송 전용 구급차 도입을 위해 10억원의 예산을 추경에 편성했다.


도 재난본부 관계자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전염병 환자이송 전용 구급차의 현장 배치가 가능할 것"이라며 "평상시에는 응급환자를 이송하고 전염병 환자 발생 시 활용하게 된다"고 말했다.


도는 메르스 사태 발생 후 상황을 담은 백서 발간도 추진한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7월 월례조회에서 "메르스 초기 대응이 왜 아쉬운 점이 많았고, 그 이후 극복은 제대로 잘 이뤄졌는 지 등을 짚어보기 위해 백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특히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면 더 이상 허둥대며 실수하지 않고 초기부터 완벽하게 병을 퇴치할 수 있는 교훈을 주기 위해 백서 제작을 결정했다"며 "이번 백서를 통해 메르스 전 과정을 돌아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의회는 14일 임시회에서 '경기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감염병 예방 관련 조례가 통과된 것은 전국 지자체 중 경기도가 처음이다.


이번 조례안은 도지사가 매년 감염병 예방에 관한 시행규칙을 수립ㆍ시행하고 감염병관리본부를 구성, 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명문화했다. 또 감염병 환자 관리와 강제처분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대응관리 내용도 담았다.


도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 이후 초기 감염병 관리에 허점이 많았다는 지적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작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백서 제작과 구급차 확보, 조례안 마련 등을 통해 제2의 메르스 사태가 발새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