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은지 기자] 가격제한폭 시행 후 상·하한가를 기록한 종목 수가 일부 우선주 등의 이상급등에도 불구 시행 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는 30일 증권시장의 가격제한폭 확대·가격안정화 장치 개편 사항의 2주간 시행 상황을 분석 결과, 일평균 상·하한가 종목 수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시행 후 2주일간 코스닥 시장의 상한가 종목 수는 평균 3.8개로 가격제한폭 시행 전인 올해 평균(12.3개)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제도 시행 후 코스닥 시장의 하한가 종목 수도 2.8개로 시행 전(3.3개) 보다 줄었다.
코스피 시장의 하한가 종목 수도 가격제한폭 제도 시행 전인 평균 0.8개에서 0.2개로 감소했다. 다만 상한가 종목 수의 평균은 제도 시행 전 6.4개에서 시행 후 7.8개로 소폭 증가했다.
거래대금은 코스피시장의 대형주가 확대 이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반면 당초 변동성 확대에 따른 중소형주의 거래 축소 우려와 달리 코스피시장의 중소형주·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늘었다.
정적 변동성완화장치와 동적 변동성완화장치는 일평균 각각 113.5회(코스닥 109.3회), 72.1회(코스닥 23.2회) 발동됐다. 이에 따라 가격변동률을 각각 0.6%p(코스닥 0.4%p), 2.1%p(코스닥 1.7%p) 완화시켰다. 한국거래소는 "개별종목의 가격안정화 장치로서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거래소는 "변동성 확대 등에 대한 일부 우려에도 불구하고 시장에 큰 충격 없이 가격제한폭 확대 제도가 무난히 안착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가격제한폭 확대가 시장에 완전히 정착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시장상황에 대한 모니터링과 우선주 등의 급등종목에 대한 시장 감시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은지 기자 eunj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