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으로 다시 보는 '경주 서봉총 봉황 금관'

시계아이콘01분 0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과학으로 다시 보는 '경주 서봉총 봉황 금관' 서봉총 금관과 금드리개 (보물339호), 신라, 높이 35cm.
AD


과학으로 다시 보는 '경주 서봉총 봉황 금관' 서봉총 금관 금실의 순도 가~바: 17K(신라 금실), 1~6: 23~24K(후대 보수 금실)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1926년에 경주 서봉총에서 출토된 신라 봉황장식 금관을 포함한 금제품 유물을 과학으로 풀어보는 전시가 마련된다.


오는 21일부터 6월 21일까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장 1층 테마전시실에서 '과학으로 풀어 보는 서봉총 금관'전이 열린다. 보물 339호인 봉황 장식 금관, 금허리띠 장식, 금제 굵은 고리 귀걸이, ‘연수’라고 새긴 은그릇 등 모두 57점의 유물과 금관 재현품을 관람할 수 있다.

봉황장식 금관은 지금까지 확인된 6개의 신라 금관 중 유일하게 정수리에 봉황으로 꾸며져 있다. 넓고 긴 관테에 5개의 세움 장식과 봉황 장식이 붙은 긴 금판을 못으로 고정한 형태이다. 세움 장식 중 가운데 3개는 맞가지 모양이며 양 옆 2개는 엇가지 모양이다. 맞가지 세움은 가지가 3단으로 구성돼 황남대총 북분과 금관총에서 출토된 금관과 같다. 관테와 세움 장식에는 달개와 곱은옥을 금실로 묶어 장식했다. 금드리개는 굵은 고리에 노는 고리 3개를 이은 후 2개의 드리개를 각각 달아 만든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신라 금관의 드리개 가운데 가장 화려하다.


금관 등 금제품에 사용한 과학적인 조사법은 X-ray와 XRF(엑스선 형광 분석)이다. X-ray로는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금귀걸이 등의 제작 기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XRF를 통해서는 금관 각 부속의 금 순도를 측정했는데 이를 통해 금관을 제작할 때 사용한 금실과 후대에 보수할 때 사용한 금실을 구분해 낼 수 있었다. 제작 당시 관테에 곱은옥을 고정한 금실은 모두 순도가 17K인데 비해 후대에 보수한 금실은 23K ~ 24K로 확연한 차이가 났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것은 금 제련 기술력 차이 때문"이라며 "또한 제작 당시에 사용한 금실에서는 전통적 제작 방법인 늘여 빼기로 만든 흔적이 금실 표면에서 확실히 보이지만 후대의 보수에 사용한 금실에서는 그런 흔적이 확인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번 전시에서는 서봉총 발굴 당시와 이후 금관 사진들의 비교를 통해 현재의 금관이 제작 당시와 다른 모습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작 당시 관테에 붙어 있었던 6개의 곱은옥 가운데 4개가 떨어지고 양대(봉황 장식이 붙은 긴 금판) 역시 다른 위치에 고정돼 있음을 알 수 있다. XRF 분석 결과와 발굴 당시 사진에 보이는 금관의 상태 차이를 근거로, 금관의 제작 당시의 모습을 추정한 재현품도 비치된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