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한국과 베트남이 양국간 자유무역협정(FTA)에 가서명했다.
이미 발효 중인 한·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FTA에 더해 섬유와 화장품, 자동차 부품 등 시장이 열려 중소기업들의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29일 산업통산자원부는 김학도 통삽교섭실장과 부 휘 손 베트남 무역진흥청장이 28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만나 협정문에 가서명했다고 밝혔다.
한국과 베트남은 2012년 8월 협상 개시 선언한 이래 2년4개월간 9차례의 공식 협상을 진행했다. 지난 12월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ASEAN)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마련된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응웬 떤 중 베트남 총리가 타결에 합의했다.
이로써 베트남은 한국의 FTA 협상 타결한 15번째 국가가 됐다. 현 정부 들어서는 호주, 캐나다, 중국, 뉴질랜드에 이어 5번째로 FTA다.
매년 5∼6%의 경제성장을 하고 있어 앞으로 중산층 대상 소비재 등을 중심으로 큰 폭의 교역 증가가 예상된다. 베트남은 지난해 기준 한국의 제4위 무역수지 흑자(수출 223억5169만달러·수입 79억9032만달러) 대상국이다.
한국와 베트남은 이미 발효된 한·ASEAN FTA에 추가로 시장개방에 나선다.
베트남 측은 수입액 기준 대(對)한국의 수입의 86.3%를 양허(관세철폐)한 상태다. 추가로 6.1%포인트를 양허한다. 품목별로는 주요 수출품목인 섬유(3년)와 변압기·전동기·믹서·합성수지·항공기부품(5년), 철도차량부품·선재·원동기·의약품(7년), 자동차부품·화물차·승용차(3000CC 이상)·화장품·전기밥솥·에어컨(10년) 등이다.
농수산물은 쌀(협정 대상 제외)·고추·양파·녹차·오징어 등 주요 민감 농수산물 모두 한·아세안 FTA보다 추가 개방하는 품목은 없다. 저율관세할당(TRQ)이나 장기관세철폐 등 예외적 수단을 확보했다.
한편 양국은 올해 상반기 중 정식 서명을 마친 후 국내 절차를 거쳐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협정을 발효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