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한국과 일본의 통화스왑이 연장없이 만료되면서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충분하고 외환거래가 안정된 수준이기 때문에 금융 시장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16일 기획재정부와 한은에 따르면 한일 양국은 이날 통화스왑을 연장없이 당초 예정대로 2월23일 만료하기로 했다.
통화스왑이란 비상시에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나 달러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과 일본은 2001년 7월 2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왑을 맺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1년 700억달러 규모로 늘렸다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2012년 130억달러까지 줄어들었다. 박근혜 정부에서도 한일간의 외교문제가 얽히면서 2013년 100억달러까지 줄었다가 이번에 계약이 만료됐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통화스왑이 양국 경제 협력의 상징적인 의미만 가진데다 외환보유액이 충분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3621억9000만달러로 세계 7위다. 일본의 외환보유액은 1조2605억달러로 중국에 이어 2위다.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가 충분한 수준인데다 그간의 한일 통화스와프도 양국 경제가 협력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만 있을 뿐이기 때문에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고 했다.
이어 "원화도 엔화만큼은 아니지만 비교적 안전자산으로 취급받고 있고 우리나라 재정수준도 안정돼 있다. 금융시장이 당장 위험해진다기 보다 한일 경제 협력효과가 줄어든다는 의미에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영수 한양대 일본학과 특임교수는 "100억달러 규모라면, 우리나라 외환안전판(외환보유액 수준)을 고려할 때 실물경제에 크게 영향을 줄 만한 이슈는 아니다. 되레 올해 양국 수교 50주년을 맺는 상황에서 일본의 이런 결정은 정치외교적인 의미가 더 크다. 양국 정상이 안만난지 2~3년이 돼가고 있는 상황도 일부 영향을 줬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