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低금리·低성장에 은행업 부가가치 2년째 쪼그라들었다

시계아이콘00분 5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低금리·低성장에 은행업 부가가치 2년째 쪼그라들었다 (자료:금융연구원)
AD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은행산업의 부가가치가 최근 2년째 줄어 경제 성장 기여도가 정체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저성장·저금리·고령화와 함께 수수료를 비롯한 각종 가격제한과 관치금융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8일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연구원과 글로벌금융학회 공동주최로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정책심포지엄에 앞서 배포한 주제발표 자료에서 "부가가치 기준으로 볼때 국내은행의 성장 기여도는 정체돼있다"고 분석했다.


은행산업의 부가가치(순이익과 인건비 합계 기준)는 2011년 25조9000억원에서 2012년 21조원, 2013년 16조5000억원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부가가치는 2004년 16조4000억원 이후 9년만에 최저 수준이다.

은행산업의 부가가치는 2005년 22조5000억원, 2006년 22조7000억원, 2007년 25조3000억원 등 20조원대에서 2008년 17조8000억원, 2009년 16조9000억원, 2010년 19조7000억원 등 10조원대 후반으로 줄고서 이후 2년간 20조원대를 회복했으나 다시 뒷걸음쳤다.


서 위원은 "은행의 성장 기여도 정체는 수익성 악화와 가장 큰 관련이 있다"며 "국내 은행의 수익성은 재정위기 후유증을 겪는 일부 유럽 국가를 빼면 세계 최하위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영국 '더 뱅커(The Banker)'지가 선정한 '세계 1천대 은행'의 2013년 총자산이익률(ROA)은 평균 1.28%였지만 이 가운데 한국의 은행은 0.38%로, 83위권에 그쳤다.


서 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용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은행들의 대출 자산 증가율도 둔화하는 등 자금중개 기능이 상당히 위축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금융당국이 은행을 규제산업으로 인식해 금융사고 발생을 막고자 감독을 시행하면서 동시에 고부가가치 산업인 은행업 육성 차원에서도 접근해야 한다"며 인식의 전환을 요구했다.


이어 "민간 은행이 서민금융, 정책금융을 맡도록 하는 것은 관치 금융"이라며 최근 당국이 활성화를 유도하는 기술금융과 관계형 금융도 "은행의 충성 경쟁을 유도하기보다는 기술평가기관의 육성 등 인프라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리와 수수료 등 가격 결정은 시장에 맡기고 금융소비자에 대한 설명의무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