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 서울시장 후보, 누가 돼도 "주택규제 더 푼다"

시계아이콘01분 4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재건축 연한-재정비사업 기간 단축…공공조합원 제도 도입
투자유치확대로 일자리 창출…서민·여성 등 맞춤형 공략도


[아시아경제 김인원 기자] 오는 30일 예비후보 경선을 앞두고 김황식·이혜훈·정몽준 등 새누리당 서울시장 예비후보의 공약이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세 예비후보는 박원순 서울시장에 맞서 규제완화와 투자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한 목소리로 외치면서도 서민, 여성을 파고드는 특색 있는 공약으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與 서울시장 후보, 누가 돼도 "주택규제 더 푼다"
AD


김·이·정 세 예비후보 공약은 크게 주택과 일자리, 교통인프라, 복지 등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 이들은 모두 서울지역의 재개발·재건축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김 후보는 주택 재건축 연한을 현행 40년에서 30년으로 10년 단축해 노후 주택지역의 재건축을 용이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정 후보도 신규주택 공급의 2분의 1은 재건축, 재개발을 통해 발생한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민간주택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후보는 현재 13단계의 재정비사업의 과정을 대폭 줄여 사업 기간을 6개월 이상 단축하겠다고 주장했다.

뉴타운 사업 추진도 세 후보의 주요 주택공약 중 하나다. 특히 이 후보는 뉴타운 사업 추진을 위해 공공기관이 조합원 자격으로 참가하는 '공공조합원 제도' 도입을 약속했다. 재개발 지역의 국공유지를 갖고 있는 공공기관이 조합원 자격으로 정비사업에 참여하면 시·구청의 각종 인허가 단계 등 행정절차가 빨리 진행되고 비리 발생과 공공감사 실시로 법정공방도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세 후보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울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공약을 내놓았다. 정 후보는 서울시 소재 공공기관 100여 개가 이전해 생기는 부지 약 271만㎡(82만평)에 투자를 유치해 벤처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용산 재개발 사업의 책임이 서울시에 있다고 보고 용산 국제업무지구를 단계적으로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청년층의 창업을 돕기 위해 5개 지역에 '서울밸리'를 조성해 아이디어를 산업화하는 공간으로 일정기간(3~5년) 제공할 계획을 세웠다. 도심 내 동일 제조업 밀집지역을 서울형 도심산업으로 특화해 육성하고, 한양역사문화도시 조성해 관광 일자리를 확충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후보는 세운상가에 한류메카, 도심공원, 대규모 행정타운 조성하고 해외 금융기관 유치 등을 통해 서울의 경제혁명을 이루겠다고 공약했다.


강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강북지역의 교통 인프라 확충을 위해 세 후보가 내놓은 공약도 눈길을 끈다. 정 후보는 동부간선도로의 군자~상계(중랑천 복원 구간), 대치~군자(강남ㆍ북 직결구간)를 지하화 후 수변공원 조성하는 공약을 최우선으로 내걸고 있으며 주춤했던 경전철 공사를 적극 추진하고 23개의 간선도로의 조속 완공을 약속했다.


김 후보는 '비강남권 경제 활력 프로젝트' 공약으로 시청에서 강남까지 10분대 지하철을 실현하기 위해 현재 서울시가 검토 중인 신분당선 강남~시청~은평뉴타운 구간의 조기 착공을 이끌어내겠다고 언급했다. 이 후보는 서울의 강남과 강북을 엑스(X) 축으로 가로지르는 지하철 3호선과 4호선을 직접 연결해 환승 불편 없이 통행시간을 단축시키는 방안을 발표했다.


복지공약도 관심이다. 복지 부문은 각 후보의 성향을 잘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세심하게 공을 들이고 있다. 정 후보는 모든 지하철역에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설치, 워킹맘을 위한 역세권 어린이집 신설, 이른 새벽에 버스·지하철 이용하는 사람들의 교통요금 부담을 덜어주는 '얼리버드' 우대요금체계 추진, 공원 광장 등 공공장소에서 무선데이터를 무료로 쓸 수 있는 와이파이 프리존 조성 등 서민을 대상으로 한 이색 공약을 내걸었다.


이 후보는 유일한 여성 후보라는 점을 내세워 지하철 여성 전용칸 설치, 국공립 보육시설 두 배 확충,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여성인력뱅크 설치 등을 제안했다. 김 후보는 고령자 친화적 기업 지정”육성 제도 마련, 기존 보육시설이 부담하기 어려운 보육 수요를 위한 출장형 보육서비스업 제도 마련 등을 제시했다.




김인원 기자 holeino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