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민주노총의 2차 총파업 방침에 따라 금속노조 산하 최대 노동조합인 현대자동차의 생산라인이 70분간 멈춰 선다. 현대차를 비롯해 기아차, 한국GM 등 완성차 노조가 일제히 잔업 거부에 나서면서 '정치파업'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민주노총의 2차 총파업 방침에 맞춰 10일 새벽 0시20분~1시30분 차량생산을 중단한다. 잔업이 없는 주간 1조는 정상적으로 근무하고 주간 2조가 잔업을 거부한다.
이번 잔업 거부는 상급노동단체인 민주노총의 총파업 결의에 따라 금속노조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에서 결정된 것이다. 사측은 약간의 생산차질이 불가피하나 충분히 만회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1차 총파업 시에는 노조 간부만 참여해 생산차질이 발생하지 않았다.
현대차 노조 간부와 일부 조합원은 이날 오후 4시 서울광장 등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민주노총 주도의 노동자 집회에도 참여한다. 현대차뿐 아니라 기아차와 한국GM도 잔업을 거부하고 집회에 동참한다.
이들 완성차 노조 집행부는 잔업 거부를 통해 상급단체의 총파업과 관련한 명분을 세우는 한편, 조합원들에게 직접적 피해를 끼칠 수 있는 파업을 피했다. 현대차 노조 집행부의 경우 실리온건파로 분류되는 데다, 세 노조 모두 집행부가 갓 출범한 시기라 파업에 대한 부담감이 크게 작용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사측과의 관계를 악화시켜 추후 임금단체협상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파업에 반감을 갖고 있는 조합원들이 등을 돌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잔업 거부가 추후 이어지는 민주노총의 움직임과 함께 추가적인 잔업·특근 거부, 파업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 경우 또다시 정치파업에 대한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현대차는 이날 회사 소식지 '함께 가는 길'을 통해 "협력업체들 조차 정상조업을 실시하는데 유독 현대차만 전체 파업(잔업거부)을 한다"며 "이는 직원들의 근로조건 향상과 아무런 연관이 없는 불법행위"라고 주장했다.
또한 "불법 잔업거부와 관련해 회사는 반드시 그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더 이상 불법행위로 인한 혼란과 갈등이 재연되지 않도록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현대차 노조는 2006년 11월15일~12월6일 민노총 파업에 참여해 총 1727억원 규모의 생산차질을 빚은 바 있다. 2007년과 2008년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소고기 촛불집회와 관련된 정치파업에 동참하며 각각 694억원, 355억원의 생산차질을 기록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오는 11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민영화 저지, 정권 퇴진을 위한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관권부정선거 촛불집회'에 참여한다. 18일 오후 4시에는 전국 조합원 상경 3차 총파업 결의대회를, 다음 달 25일 오후 2시 서울 도심에서는 박근혜 대통령 취임 1주년 국민 총파업 결의대회를 연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