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입맥주·와인 잘팔리고 위스키·막걸리 인기는 시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수입맥주·와인 잘팔리고 위스키·막걸리 인기는 시들
AD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올해 대형마트에서 국산맥주와 막걸리 판매는 줄어든 반면 수입맥주와 와인 판매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주와 국산맥주 위주의 주류 소비패턴이 점차 다변화되고 와인 소비는 더욱 보편화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마트와 홈플러스에서는 이미 수입맥주 매출이 위스키 매출을 뛰어넘었고, 롯데마트에서도 올해 처음으로 수입맥주 매출이 위스키를 앞섰다.

3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전체 주류 매출에서 수입맥주 비중은 9.6%로 2011년 6.3%, 지난해 연간 7.4%에 비해 크게 늘었다.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즐겨찾는 다양한 수입맥주를 들여와 판매하고 있고, 각종 할인행사 등 판촉전을 치열하게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하이트, 카스 등 올해 국산맥주 매출은 전체 주류 매출액의 36.0%를 차지해 지난해보다 비중이 2.7%포인트 감소했다. 매출액 규모로는 7.5% 줄었다.

소주 매출 비중은 지난해 16.0%로 전년보다 1.0%포인트 줄었으나 올해는 16.5%로 반등했다.


와인 매출은 해마다 꾸준히 늘어 소주 매출과의 격차를 더 벌였다. 2011년 16.4%이던 와인 매출 비중은 지난해 17.1%로 처음으로 소주 매출 비중을 넘어섰으며 올해 17.9%로 늘었다.


민속주와 막걸리 등 전통주 매출은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올해 민속주 매출 비중은 2.8%로 여전히 미미한 수준을 기록했으며, 2011년 3.9%, 지난해 3.5% 비중이던 막걸리 매출은 올해 3.0%로 해마다 소비가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위 '양폭'으로 불리는 폭탄주 문화가 시들해지면서 위스키 판매는 해마다 하락세다. 2011년 전체 주류 매출에서 8.5% 비중이던 위스키는 지난해 7.9%, 올해 7.2%로 비중이 줄어 롯데마트에서는 수입맥주와의 매출 순위가 역전됐다.


이마트 위스키 매출도 2011년 6.9%, 지난해 6.2%에 이어 올해 5.2%로 하락세다. 대형마트의 위스키 판매가 줄어든 것은 몇 년 새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져 도수가 높은 술을 찾는 소비자가 준데다 가족 단위 쇼핑객이 많은 대형마트 특성상 남성들의 위스키 구입이 감소한 것이다.


반면 보드카를 포함한 리큐르는 2011년 1.2%, 지난해 2.0%에서 올해 2.8% 비중을 차지해 높은 인기를 실감케 했다. 리큐르와 에너지음료를 섞어먹는 '예거밤' 등 신종 주류가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가 끌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영은 롯데마트 주류 MD(상품기획자) "20~30대 젊은층을 중심으로 수입 맥주에 대한 수요가 지속 증가세에 있다" 며 "롯데마트에서도 2010년 이후 수입맥주 상품을 대폭 늘렸고, 연말까지 30여개 브랜드 140여개 품목으로 제품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