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뛰는 원화값, 경제 발목잡지 않도록

시계아이콘00분 59초 소요

갈 길이 먼 경제에 환율이 복병으로 등장했다.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속락하면서 연중 최저치에 바짝 접근했다.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의 특성상 뜀박질하는 원화값이 반가운 현상은 아니다. 특히 최근 들어 빨라진 환율 하락 속도가 걱정을 키운다.


어제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5원이 내린 1055.8원으로 마감, 9개월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간 최저점(장중 1054.5원, 1월15일)이 코앞이다. 미국의 9월 고용지표가 부진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양적완화가 당분간 지속되리라는 기대로 세계시장에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인 때문이다.

미국의 단발성 고용지표가 아니더라도 원화 환율은 추세적 하락세를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 지금의 대내외 환경이다. 나라 안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바이 코리아'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주식투자를 위해 달러를 원화로 바꾸려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환율을 끌어내리고 있는 것이다. 수출호조로 기업들이 시장에 내놓는 달러도 늘어났다. 나라 밖에서는 미국 양적완화 축소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달러화가 기조적인 약세 현상을 보인다.


환율 하락보다 더 마음에 걸리는 것은 떨어지는 속도다. 지난달 초 달러당 1100원선이 깨진 후 불과 50여일 만에 42원, 4%가 내렸다. 1100원선 붕괴 후 1차 저지선으로 여겨졌던 1070선이 가볍게 무너졌고 이제 1050선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환율하락은 수입가격을 낮춰 물가에는 긍정적이다. 수출 기업들의 내성이 생겨나 예전보다는 환율 하락의 타격을 덜 받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은 안정세를 보이는 물가보다 땅에 떨어진 성장 활력의 회복을 걱정해야 할 때다. 타격이 전보다 크지 않다고 해도 수출 위주의 제조업이나 환율 대응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은 사정이 다르다. 특히 경영여건이 어려울 때는 작은 충격에도 크게 흔들릴 수 있다. 짧게는 채산성이 나빠지고, 길게는 수출가격 상승에 따른 물량감소와 수출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가 외환시장을 예의 주시하면서 환율이 과도하게 떨어지거나 출렁이지 않도록 힘써야 하는 이유다. 기업들은 환율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의 파고를 고품질과 신시장 개척으로 넘어선다는 각오와 실천적 전략이 필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