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스토리인물史]대당제국의 초석을 닦은 명신 방현령

시계아이콘01분 45초 소요

[중국스토리인물史]대당제국의 초석을 닦은 명신 방현령 박종구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AD

방현령(房玄齡ㆍ578~648)은 산둥성 출신으로 두여회, 장손무기 등과 함께 정관성세(貞觀盛世)를 가져온 당나라 초기의 명신이다. 자는 현령이고 이름은 교(喬)다. 수나라 왕조에 출사했지만 수나라 멸망이 멀지 않음을 예견하고 당 고조 이연의 차남 이세민의 참모가 됐다. 둘은 만나자마자 의기투합했는데 마치 이전에 알고 지낸 사람 같았다고 한다. 이세민을 도와 왕세충, 두건덕 세력을 제압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그의 진가는 626년 형 이건성과 동생 이원길과의 현무문 정변에서 나타났다. 이세민은 형제와의 골육상쟁을 우려하여 정면대결을 주저했다. 그는 먼저 공격하지 않으면 오히려 목숨을 잃을 수 있음을 역설해 기습공격으로 싸움을 승리로 이끌었다. 태종 즉위 후 재상인 상서좌복야가 되어 당 초기 법ㆍ제도와 인사 시스템을 정비하고 행정을 공평무사하게 처리해 제국의 기틀을 확립했다.


당 태종의 23년 치세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문관, 무관, 간관이 삼위일체가 되어 국정에 헌신했기 때문이다. 그는 두여회, 왕규, 저수량 등 뛰어난 문관 집단을 잘 이끌어 합리적인 정책 제안과 집행을 통해 왕조 초기 관료사회를 안정시키고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정관시대는 뛰어난 재상의 역할이 두드러진 시기였다. 상서우복야인 두여회와는 뛰어난 명콤비였다. 방모두단(房謀杜斷)은 방현령이 제도와 정책을 기획하면 결단성 있고 추진력 강한 두여회가 막힘없이 물 흐르듯 집행했다는 유명한 고사성어다. 두 사람의 협업은 태종의 통치를 반석 위에 올려놓았다. 두여회가 일찍 세상을 떠난 후에는 위징, 저수량 등이 재상의 중책을 이어받아 안정적인 국정 수행이 지속될 수 있었다. 오긍의 정관정요에 따르면 그는 재상으로 백관을 통솔하고,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까지 부지런히 일했다. 옳다고 믿는 생각을 관철시켰고, 공무를 처리함에 있어서도 조금의 실수도 용인하지 않았다.

그는 태종의 치국이념인 이인위본(以人爲本)과 왕도정치를 적극 뒷받침했다.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라는 민본주의 사상을 구현하는 데 몸을 아끼지 아니했다. "백성이 가장 귀하고 다음으로 토지가 귀하며, 군주는 가장 나중이다"는 맹자의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백성을 잘 살게 하고 편안하게 하려는 위민자세를 강조했다. 또한 수나라 말의 패도정치를 법과 제도를 근간으로 하는 왕도정치로 전환하는 데 노력했다.


창업과 수성을 둘러싼 위징과의 논쟁은 그의 정치적 신념을 잘 보여 준다. '창업과 수성 중 무엇이 더 어려운가'라는 태종의 물음에 그는 창업의 어려움을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천하가 혼란스러워지면 영웅들은 다투어 일어나지만, 쳐부수면 투항하고, 싸워 이기면 제압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말하면, 창업이 매우 어렵습니다." 천하를 평안케 하기 위해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은 개국공신만이 할 수 있는 명언이다.

그는 태종의 무리한 요동정벌에 반대했다. 태종은 자신의 사후 고구려라는 후환을 제거하여 유약한 후계자를 보호하려 했다. 요동은 너무 거리가 멀고 식량, 군수물자 조달이 어려우며, 고구려가 용맹하다는 점 등을 들어 반대하는 의견에 뜻을 같이했다. 그러나 정관 18년(644) 고구려 정벌이 시작되자 태종은 수도인 장안의 방어를 그에게 맡길 정도로 신임했다.


그도 갖가지 중상모략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현명하고 후덕하다고 평가받은 태종비 장손왕후는 죽음을 앞두고 외척 배제, 장례 간소화와 함께 방현령을 계속 중용할 것을 간곡히 부탁했다. 요동정벌 중 그가 장안성에서 모반했다는 고변을 듣자, 태종은 가차 없이 밀고자의 목을 베었다. 정관 20년에도 오랫동안 조정을 장악해서 모든 사람이 방현령 일파라고 모함을 받았다. 648년 그가 죽자 태종은 문소라는 시호를 내렸고 능연각 24공신으로 지정했으며 자신의 능인 소릉에 배장토록 했다. 그는 백성들로부터 현신(賢臣)으로 칭송받았다. 이세민과 방현령은 우리에게 위대한 군신관계가 무엇인지를 재삼 일깨워 준다.


박종구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