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원식 주택건설협 부회장 "금융비용 추가 지원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이원식 주택건설협 부회장 "금융비용 추가 지원 필요"
AD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주택공급을 조절하는 게 장기적으로 맞는 방향이라고 본다. 다만 택지를 장기간 보유하면서 발생하는 금융비용 감면 등 기업들에 대한 대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이원식 대한주택건설협회 상근부회장(사진)은 24일 정부가 발표한 '4·1부동산 대책 후속조치'에 대해 방향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보완할 점이 남아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부회장은 "수도권에 주택이 과잉 공급돼 수급조절이 필요하다는 정부와 인식은 정확하게 맞다"면서도 "시장 침체 속에 의도적이지 않게 장기간 택지를 보유해온 건설사들을 배려해 선별적·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분양이 집중된 지역에서 무분별한 밀어내기식 주택 공급을 억제하기 위해 대한주택보증의 보증 수수료율을 올린다는 정부 정책에 대해서는 "주택업체들에게 보증료율은 예민한 문제"라며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을 아꼈다. 정부가 세부적인 운영규칙을 잘 세워 사업장별로 평가를 하게 되면 사업성이 뛰어난 곳은 오히려 혜택을 볼 수도 있다는게 그의 생각이다.

또 "수급조절을 골자로 한 이번 대책이 성공하려면 최저가낙찰제 폐지 등의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지역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공급을 조절한다고 했기 때문에 일감이 크게 줄어들 것이란 우려는 하지 않는다"면서 "하지만 업체들의 숨통을 틔워주기 위해선 최저가낙찰제 폐지 등의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상근부회장은 또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두터워야 부동산 대책도 효과를 낼 수 있다"면서 "부동산시장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발표했던 분양가상한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등의 법안이 국회에서 빠른 시일 내에 통과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공사물량이 줄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사들에 대해 이 부회장은 "국내 주택시장은 포화상태이 이르렀다"면서 "젊은 세대의 인식이 변하면서 전·월세 시장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주택임대관리업 등에도 과감하게 진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임대주택 물량은 조기에 입주를 서두르고 조기에 완공시키는 등 임대주택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민찬 기자 leem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