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내 심장정지 환자 생존률 4.4%…지역차도 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지난해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4.4%로 여전히 선진국 수준이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서는 생존퇴원율이 6배 이상이나 났다.


급성 심장정지 생존퇴원율은 심장의 정상순환이 멈춰 구급대에 의해 병원에 이송된 환자 가운데 살아서 퇴원한 비율을 말한다.

19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1~2012 급성 심상정지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퇴원율은 지난 2010년 3.3%에서 4.4%로 2년새 1.1%p 증가했다.


이는 심폐소생술 실시율과 자동제세동기 사용률이 2배 이상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심폐소생술 실시율은 2010년 3.2%에서 지난해 6.5%로 2배 이상 증가했고, 구급대의 자동제세동기 사용률도 32.7%에서 73.7%로 늘었다.

생존퇴원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고무적이나 아직도 미국(9.6%) 등 선진국과 비교하면 턱 없이 낮은 수치다.


지역별 생존퇴원율 격차도 컸다. 지난해 기준 서울의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퇴원율은 8.7%로 가장 낮은 경북(1.4%)의 6.2배에 달했다. 이 밖에 대전(6.5%), 인천(5.3%), 경기(4.8%) 등 상대적으로 의료시설이 많은 대도시 지역의 생존퇴원율이 높았다. 반면 경북을 비롯한 전남(1.6%), 경남(2.1%) 등 농촌지역의 생존퇴원율은 2% 안팎이었다.


지역별 생존퇴원율 격차는 여전히 큰 편이나 취약지역에 대한 응급의료기관 투자가 증가하면서 지역간 격차는 매년 줄고 있다. 취약지역의 응급의료기관에 투자하는 응급의료기금은 지난 2008년 57억원에서 지난해 221억원으로 4배 가량 많아졌다. 생존퇴원율이 2% 미만인 지역 비중도 같은 기간 51.2%에서 37.5%로 크게 줄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가 매우 고무적이지만 아직도 선진국 수준에는 못 미치고 있다"면서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고 신속한 응급처치를 위해 구급차와 소방차가 동시에 출동하는 '펌뷸런스(Pumbulance) 시스템' 등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