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데스크칼럼]대학교육의 신세계가 열린다

시계아이콘01분 47초 소요

[데스크칼럼]대학교육의 신세계가 열린다
AD

[아시아경제 백재현 온라인뉴스본부장]어떤 대학에 과목이 하나 개설됐는데 수강생이 무려 15만5000명이나 몰렸다면 믿겠는가. 또 학생수가 300만 명이나 되는 학교가 있다면... 믿기 어렵지만 사실이다. 다만 온라인에서다. 전자는 애낸트 아가르왈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교수가 무료 온라인 강의실 격인 에덱스(edx)에 개설한 과목에서의 이야기이고 후자는 코세라(courser) 이야기다.


미국의 명문대학을 중심으로 한 ‘개방형 온라인 강좌(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s)’가 최근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에덱스는 하버드대학과, MIT가 공동으로 개설했다. 두 명문대 외에도 캘리포니아대, 텍사스대, 라이스대, 웰슬리대, 조지타운대 등 미국 명문 사립·주립대들이 함께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캐나다 맥길대, 토론토대, 호주국립대, 스위스 최고의 명문 로잔 연방공과대학(EPFL) 등도 참여하고 있다. 최근 서울대도 참여하기로 했다.


에덱스에는 70만 명 이상이 수강하고 있고, 수강생 대부분이 미국 이외 지역 학생들이다. 한국과 중국, 홍콩,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 수강생들만 4만4000명에 이른다.

한편 코세라는 스탠포드 대학교의 컴퓨터 공학 교수인 앤드류 응과 다프네 콜러 교수가 지난해 4월 설립했다. 콜러 교수는 불과 25세에 스탠포드 교수가 돼 주목 받았던 인물이다. 비싼 등록금을 내지 못하거나 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다. 스탠포드, 프린스턴 등 미국의 유명 4개 대학 들이 참여했다. 필요 자금은 실리콘밸리 벤처기업들이 16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시작은 4개 대학 43개 강좌였으나 1년 남짓 만에 62개 나라에서 70여 개 대학이 참여 해 300여 개가 넘는 과목이 개설됐다. 수강 학생 수는 300만 명에 달한다. 지금도 세계 톱 수준의 대학들이 속속 동참하고 있고 개설 과목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에덱스와 코세라 외에도 구글 부사장이자 스탠퍼드대학 컴퓨터 사이언스학과 객원 교수인 세바스챤 스런 박사가 만든 유다시티(Udactiy)도 있다. 지난 2011년에 시작됐으며 4월 현재 200개국 이상의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수업의 내용도 인터넷 기술을 활용해 수시로 시험을 치고, 과제물을 제출하는가 하면 학생들간에 별도의 토론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리적 제약을 넘어 스터디 그룹들이 만들어져 운영되고 있다. 학문적 커뮤니티가 지구촌 곳곳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셈이다. 또 수강능력만 되면 누구나 교육을 들을 수도 있다. 실제로 유다시티의 경우 수강생 연령층이 13세에서 80세까지 있다. 하버드 대학교 입학이 지원자의 6%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MOOC의 교육 시스템은 가히 획기적이라 해야 할 것이다.


이들 온라인 교육 기관의 등장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불어 닥친 디지털 혁명이 교육분야에서 발현되는 대표적인 사례다. MOOC가 앞으로 몰고 올 변화를 생각하면 경이롭기 까지 하다. 집에 앉아서 마이클 센델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해보라.


이들 강의는 거의 대부분 무료다. 반값 등록금 문제도 자연 해결된다. 가정 형편이 나빠도, 직장을 다녀 시간이 없어도 세계 유명 대학의 유명 교수들의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고, 원한다면 학위까지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실제로 올 들어 지난 1월에는 애리조나 주립대와 신시내티, 아칸소대 등 미국 국공립대학들이 MOOC에서 수강한 학생들이 이후 학교에 등록하고 등록금을 내면 학위를 주기로 했다.


이 같은 흐름에 대해 라파엘 레이프 MIT 총장은 이제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여야 할 새로운 세계가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물론 반론도 있다. 대신 시험을 친다든지 하는 윤리적인 문제부터, 모든 교육이 온라인화 한다면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자본력이 약한 대학은 문을 닫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러나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어 보인다. 국내에서도 시도들이 있었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다만 여러 가지 이유로 아직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해 안타깝다.






백재현 온라인뉴스본부장 itbria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