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 원내대표, 신·구 친박의 대결…朴心·경제민주화 놓고 설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與野 원내사령탑 경선돌입]최경환 "속도조절" 이주영 "가속페달 밟을것"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오는 15일 실시되는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이 2파전으로 압축된 가운데 최경환·이주영 의원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두 의원 모두 박근혜 대통령의 당선을 도운 친박(親朴·친박근혜)계 개국공신으로서 의원 개개인을 접촉하는 저인망식 표심잡기에 나선 가운데 당청관계, 경제민주화 입법 등을 두고는 선명성 경쟁에 나서고 있다.


與 원내대표, 신·구 친박의 대결…朴心·경제민주화 놓고 설전 ▲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 뛰어든 최경환 의원(왼쪽)과 이주영 의원
AD

◆ "朴心은 어디에" 청와대 지지후보 있나


가장 큰 관심은 박 대통령의 의중이 어디에 있느냐, 이른바 '박심(朴心)' 논란이다. 친박계가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새누리당의 지형상 박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당락이 좌우될 수 있어서다.

최 의원은 7일 SBS라디오에 출연해 "청와대에서 어떤 원내대표가 되어야 국정 운영을 효율적으로 뒷받침 해줄 수 있을지 희망사항은 있을 수 있다"며 청와대의 지지를 은연중에 강조햇다. 그는 "국정 운영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는 원활한 당청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선 오랜 신뢰가 쌓여야 한다"며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신뢰관계가 아니다"라고 차별화했다.


반면 이 의원은 TBS라디오에 나와 "박심이 있는 것처럼 하는 행위나 계파를 이용해 선거에 활용하는 것이 가장 먼저 버려야 될 구태정치"라며 "이런 구태정치를 버리지 않으면 정치 쇄신 경쟁에서 뒤처지고 민심에서 멀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박심은 있지도 않고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라고 재차 선을 그었다.


◆ "브레이크냐 가속페달이냐" 경제민주화 갈림길


두 의원 사이에 차이가 뚜렷한 지점은 경제민주화의 입법화 속도 조절에 대한 입장이다. 최 의원은 브레이크를, 이 의원은 가속 페달을 밟으려는 모양새다.


최 의원은 경제민주화 입법에 대해 "법을 만들면 법적 안정성이 보장이 되어야 하고 국제 기준에 비춰 지나쳐선 안 된다"며 속도조절론에 무게를 뒀다. 그는 "현실에서 문제가 많은 법이라면 약한 법이 된다고 해도 보완하면서 가는 게 맞다"며 "(입법을) 하지 말자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제기에 대해 충분히 고민해가면서 하자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대기업의 일방적인 수정요구에 밀려서 약속했던 것을 그대로 이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강한 추진의사를 내비쳤다. 그는 "지난 총선과 대선 과정에서 뜨거운 논쟁을 거쳐 어느 수준으로 가야할 지 당내 합의가 이뤄졌다"며 "공약으로 내세운 부분들은 지켜져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 드러나지 않은 판세…崔·李 "내가 더 우세"


의원들의 표심을 사로잡기 위한 마케팅 포인트도 대비된다. 최 의원은 "청와대와 새누리당, 야당 사이의 리더십을 발휘해 강한 집권여당을 만들 것"이라며 "의원들이 강한 집권 여당에 대한 목마름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많이 지지해주고 있다"고 '우세론'을 내세웠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우세론의 근거가 없고 의원들이 밖으로 의사 표시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며 "제가 일대일로 우리 의원들을 더 많이 접촉해왔기 때문에 더 우세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상임위원회의 입장을 존중하고, 초선의원들을 정조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정부 정책 조율 과정에 참여시킬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민우 기자 mw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