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산에 직면한 용산개발…서부이촌동의 운명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청산에 직면한 용산개발…서부이촌동의 운명은? 용산역세권 사업부지 전경.
AD


[아시아경제 김창익 기자]코레일 주도의 용산역세권개발 정상화가 민간출자사들의 반발로 무산되면서 통합개발 대상인 서부이촌동의 운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코레일이 예정대로 청산 절차를 진행할 경우 통합개발 의미 자체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민간 주도의 새판짜기로 국면전환이 될 경우 서부이촌동 주민투표 문제 등이 다시 도마위에 오를 전망이다.

◆코레일-서울시, "6월까지 주민투표 완료 약속"=코레일과 서울시가 구성한 용산개발 대책반은 코레일식 회생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오는 6월까지 주민투표를 끝내기로 합의했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가 당초 계획한 ‘선 감정평가 후 주민투표’ 원칙을 바꿔 주민투표를 우선 끝내기로 방침을 세웠었다. 감정평가를 하려면 최소 6개월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연말까지 정상화 방안을 짜서 민간 주간사에 경영을 넘기겠다는 코레일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감정평가를 먼저 실시한 후 주민투표를 하려했던 것은 보상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먼저 제공해 달라는 통합개발 찬성파 주민들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반면 반대파 주민들은 재산권 행사등에 제약이 있다며 주민투표를 마치고 가능한한 빨리 구역을 해제해달라는 요구를 해왔다.

코레일와 서울시는 구역해제 주체를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는 못했던 상태다.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와 서울시가 이미 개발계획변경 신청을 받아 서울시가 승인하는 형태의 방식에 합의를 했었지만 코레일은 이 방식이 구역해제에 대한 법적공방 시 사업자에게 책임이 전가되는 것이라면 반발했었다.


◆민간출자사, “서부이촌동 주민 피해 없게”=코레일이 오는 8일 이사회에서 실제 청산을 결의할 경우 서부이촌동 통합개발 계획도 당연히 백지화 된다. 코레일이 이미 받은 철도정비창 부지값 2조4000억원을 대주단에 돌려주고, 드림허브로부터 땅을 반환받으면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은 원점으로 되돌려지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코레일이 다른 사업자를 선정해 철도정비창 개발에 나선다고 해도 서부이촌동을 통합해 개발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사업이 무산위기에 처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서부이촌동 통합개발을 둘러싼 주민간, 주민-사업자간 갈등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코레일이 주민 반발을 우려해 통합개발 계획을 유지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반면 롯데관광개발을 비롯한 민간 주도의 정상화 계획이 추진될 경우엔 통합개발의 틀이 무산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보인다. 어떤 식으로 사업계획이 바뀌든 주민의 반발이 민간사업자에게 집중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울시의 주민투표를 통한 의견수렴 후 통합개발을 추진해온 그간의 방식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 민간출자사 고위관계자는 “민간 주도의 정상화 방안은 서부이촌동 주민의 피해는 최소화하는 쪽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익 기자 window@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