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ICT대연합, 인수위원에 ICT전담부처 실천 방안 전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국내 최대 정보통신기술 관련 민간조직인 'ICT(정보통신기술)대연합'이 새 정부의 인수위원회에 ICT 전담부처 신설을 적극 설득하고 나섰다.


15일 ICT 대연합측에 따르면 이들은 '박근혜 당선인의 공약실천 방안' 문건을 복수의 인수위원들에게 전달했다. 지난 주말 이 문건을 전달받은 핵심 인수위원은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해 ICT 전담부처 신설에 힘이 실릴지 주목되고 있다.

ICT대연합은 11명의 전직 장관 등 고문만 41여명에 ICT 분야 72개 단체가 모인 조직이라 방송통신위원회와 업계에서는 그들의 목소리가 영향력이 있을 것이로 기대하고 있다.


ICT대연합이 주장하는 가칭 '정보미디어부'는 문화관광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로 흩어진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기기 기능을 통합한 부처로, ICT 생태계를 전반적으로 아우르는 역할을 한다.

국가정보화 기본 계획을 세우고, 빅데이터와 공공정보를 공개해 누구나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격차ㆍ인터넷 중독 같은 정보사회 역기능을 해소하는 기능도 담아야 한다고 방향을 잡았다. 지식경제부에 속해있던 우정사업본부는 우정청으로 승격해 정보미디어부 외청으로 가지고 와야한다고 덧붙였다.


ICT 대연합은 정보미디어 전담부처 신설에 대해 "박근혜 당선인이 ICT전담부처를 '적극검토'하겠다고 말한 것은 설치하겠다는 뜻이라고 확답했었다"며 "당선인 이런 입장을 바탕으로 해 그가 공약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인수위에 전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당선인이 공약했던 방송미디어위원회와 콘텐츠위원회에 대해서도 방향을 제시했다. 방송미디어위원회는 여야 추천의 상임위원과 비상임위원으로 구성해 독립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조직으로, 공영방송 이사회 이사 및 사장 등을 선임하고 주요 방송사 평가 등의 임무를 맡겼다.


콘텐츠위원회는 현재 방송통신심의위원회-영상물등급위원회-게임물등급위원회를 통합해 방송,통신,영상, 게임물 등 콘텐츠를 심의하는 독립기구로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ICT대연합 관계자는 "인수위원회의 조직개편을 담당하는 핵심 관계자에게 문건을 전달했으며 복수의 인수위원들에게도 전달하고 있다"며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만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