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 클라우드 보안 최고수준 사용제한 지침은 시대착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델 인터내셔널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그룹 김성준 전무

“한국 클라우드 보안 최고수준 사용제한 지침은 시대착오”
AD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업체는 이통사나 포털 사이트와 같이 기존 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용과 달리 엔터프라이즈 포털, 기업용 정보 시스템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델코리아 김성준 전무를 만나 솔루션 업체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이에 대한 전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김성준 전무는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과 관련해 “사실 웹하드 서비스에 대한 본질은 변함없다”며 “모바일 환경이 변하고 있는데 기존에 있었던 똑같은 방식에서 정보를 좀 더 넓히고 포괄해야 하는 점이 필요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를 구성할 때 전통적인 방식에서 가격 경쟁력이 있으면서 안정되고 검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죠. 클라우드는 고객 입장에서 좀 더 저렴하고 원하는 기간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가장 큰 특징은 ‘셀프 서비스 프로비전(self service provision)’이다. 사용자가 어떤 리소스를 필요로 할 때 바로 생성해서 쓸 수 있고, 필요없으면 반환할 수 있다는 얘기다. 과거에는 고객이 동일한 서비스를 받았지만 클라우드는 개인의 욕구에 따라 개별맞춤이 가능하다는 것이 김 전무의 설명이다.

과거 기업에서 활용하는 전통적인 서버는 업무별로 인사, 재계, 회무 등으로 따로 구축한 것이어서 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시스템 활용률도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요즘 솔루션업체들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필요한 곳에 더 투자하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기본 컨셉이다.


과거에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그 과정의 단계가 오래 걸렸다. 물리적인 서버를 사는 과정이 보통 한두달 걸렸으니 말이다. 그러나 최근 클라우드를 통해 비즈니스 민첩성이 대폭 향상됐다.


최근 국가정보원이 교육과학기술부 등 정부 부처에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제한 지침을 내린 것과 관련해 김성준 전무는 할 말이 많아 보였다. 김 전무는 “공유, 유통 측면에서 한국은 데이터 보안 자체에 보수적이고 민감한 편입니다. 기업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안을 향상시키는 것과 클라우드 업체들이 제공하는 보안 서비스를 따져보면 사실 클라우드 보안이 더 높은 수준인데도 말이죠. 한국은 오히려 시대를 역행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그렇다면 과거와 같이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를 들고 다니는 것과 같지 않느냐”고 반문하며 “기업의 보안과 관련해서는 역설적이기는 하지만 오히려 내부 단속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도 언급했다. 작년부터 지식경제부와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협회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증제도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데 정부가 공신력 있는 업체에 대한 인증 서비스제도를 만든다면 보안문제는 해결될 것이라는 게 김 전무의 설명이다.


“계속 변화하고 있는 IT환경에서 클라우드가 아니라면 무한한 정보에 대한 공유를 지원하기 힘들어요. 한국은 공유라는 관점에서 오픈을 어려워하는데 이것만 개선된다면 국내 시장에서 더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봅니다. 예전에는 각기 다른 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할 수 없었는데 이제는 가능하죠. 자산 활용도를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형성하면 기업은 만족할 것이고, 클라우드는 더 활성화 될 수 밖에 없지요.”


이코노믹 리뷰 이효정 기자 hy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